언어와 인지 관련 독해 문제 강의 시간에 언급했던 독해 문제입니다. 1. 다음 글에 비추어 볼 때 합리주의적 입장이 아닌 것은? 어린이의 언어 습득을 설명하려는 이론으로는 두 가지가 있다. 하나는 경험주의적인 혹은 행동주의적인 이론이요, 다른 하나는 합리주의적인 이론이다. 경험주의 이론에 의하면 어린이가 .. 고등국어어휘력 2013.11.05
(공개) 국어의 시작과 끝 내용의 일부입니다. 교재를 직접 보기 어려운 수험생을 위해 교재의 원고 일부를 공개합니다. 전철 등에서 스마트 폰으로 읽으면 좋을 듯 하네요. 이런 자료 종종 올릴까요? 제2부 문장 제5장 어법에 맞는 문장 격조사의 올바른 사용 격(格), 즉 다른 말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조사가 격조사다. 격조사에는 주격.. 고등국어어휘력 2013.11.01
하희정 국어 - 공무원 빈출 국어 어휘 총정리(1) 문학 작품 속의 고유어 고유어의 정확한 의미를 아는지 묻는 문제가 자주 출제된다. 그런데 출제위원들이 국어사전을 뒤져 출제하는 것이 아니다. 문학 작품에서 발견한 고유어를 출제하는 경우가 보통이다. 특히 국어 교과서나 문학 교과서에 등장하는 고유어가 출제되는 경우가 많다. .. 고등국어어휘력 2013.10.25
어휘 파트를 공부할 때 유념해 두어야 할 5가지 [어휘 파트를 공부할 때 유념해 두어야 할 5가지] (1) 알면 쉽고 모르면 어려운 것이 어휘다. -‘시위소찬(尸位素餐)’이란 말을 들어 본 적이 있는가? ‘조쌀하다’라는 말을 들어 본 적이 있는가? 모두 기출 어휘다. 알면 쉽지만, 모르면 어렵다. 필수 어휘만 익히는 방식으로, 요령 있게 .. 고등국어어휘력 2013.05.04
탈동작성 피동과 상황 의존성 피동 3. 다음 중 어법에 맞는 문장은? 2010 국회직 8급 ① 우리가 사는 지구는 쓰레기에 덮이고 오염에 찌든 몹쓸 병에 걸렸기 때문입니다. ② 구약성서 창세기에 보면 아브라함이 백 살에 얻은 외아들 이삭을 제물로 바치려 했다는 이야기가 나온다. ③ 부채비율 축소나 계열사 정리 등에 여력이.. 고등국어어휘력 2013.03.23
‘을/를’과 ‘에’의 혼동 -국어의 시작과 끝(제2권) 원고의 일부입니다. ① ‘에’와 ‘에게’의 혼동 앞말이 유정(有情) 명사일 때는 ‘에게’를 쓰고, 앞말이 무정(無情) 명사일 때는 ‘에’를 쓴다. 유정 명사는 사람이나 동물처럼 감정이 있는 명사를 말하고, 무정 명사란 식물이나 기관․국가처럼 감정이 .. 고등국어어휘력 2013.03.08
연령 나이 관련 어휘 총정리 사람의 나이와 관련된 말 * 곧 출간될 <국어의 시작과 끝> 원고 중 일부입니다. 연령 관련 어휘 해설 관련 사항 21일 세이레 아이가 태어난 후 스무하루 동안. 삼칠, 삼칠일 100일 백일 아이가 태어난 날로부터 백 번째 되는 날. 백날 1세 돌 어린아이가 태어난 날로부터 한 해가 되는 날. .. 고등국어어휘력 2012.03.09
물색과 완벽 뜻 모르고 쓰는 말: 物色과 完璧 흔히 쓰는 말에 ‘어처구니가 없다’는 말이 있다. 여기서 ‘어처구니’란 무엇인가? 품사로 보면 ‘어처구니’는 명사이다. 무엇인가 꼭 있어야 할 것이 없음을 가리키는 말인듯 하다. 이 ‘어처구니’는 사실은 맷돌이 맞물리는 곳의 아래 쪽 튀.. 고등국어어휘력 2011.10.30
훈민정음 창제에 대하여 세종은 한 번도 한글이 한자를 대신할 것이라고 생각하지 않았을 것이다. 한글 창제 후 한글은 공식문자로서 여러 용도로 쓰였지만 한자의 지위에는 아무런 변화가 없었기 때문이다. 이런 의미에서 세종은 한자의 역할과 한글의 역할을 달리 보았다고 해야 정확할 것이다. 그렇다.. 고등국어어휘력 2011.10.24
문학 작품 속의 우리말 문학 작품 속의 고유어 (ㄱ) -가라말 : 털빛이 온통 검은 말. ≒가라마. 예) 허우대가 걸출한 가라말 위에 높이 앉은 이재수는 붉은 비단옷 때문에 흡사 햇덩어리같이 눈이 부셨다. ≪현기영, 변방에 우짖는 새≫ - 가멸다 : 재산이나 자원 따위가 넉넉하고 많다. 예) 이 나라로 하여.. 고등국어어휘력 2011.08.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