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연(河演)과 강회백(姜淮伯) 민초 위한 불교폐단 지적, 승려와 時로 소통 정몽주 문하서 성리학 공부 조선 전기 나라 기반 다져 〈척불소〉 상소 올렸지만 불교 교유는 계속 이어가 조선 전기의 문인 하연(河演, 1376~ 1453)은 조선이 건국된 후 성리학을 토대로 나라의 기반을 다지는 데 공헌했다. 그의 자는 연량(淵亮), .. 고전문학 2019.09.24
백영숙(白永叔)을 기린협(基麟峽)으로 보내며-박제가(朴齊家) 천하에서 가장 지극한 우정은 궁할 때의 사귐이라 하고, 벗의 도리에 대한 지극한 말로는 가난을 논하는 것이라고 말한다. 아아! 청운(靑雲)의 선비가 혹 굽히어 초가집에 수레타고 찾아오기도 하고, 포의의 선비가 혹 권세가의 붉은 대문에 소맷자락을 끌기도 하니, 어이하여 서로 간절.. 고전문학 2015.08.01
고전소설 필수 개념 정리 고전소설 공부에 꼭 필요한 개념 정리 1. 판소리계소설 : 판소리 사설에서 파생되었거나 판소리와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는 소설의 총칭. 주인공이 비범성을 띠지 않고, 현실적인 가치관과 사회 현상이 전면에 부각되는 것이 특징.예)<춘향전>,<심청전>,<흥부전>,<토끼전> .. 고전문학 2015.05.27
고전시가 필수 개념 정리 고전시가 공부에 꼭 필요한 개념 정리 1. 음보 : 시가에 있어서 시간적 등장성을 기준으로 나눈 운율을 이루는 기본 단위. 우리나라 시가의 경우 대체로 휴지(休止)의 주기라고 할 수 있는 3음절이나 4음절이 한 음보를 이룸. ① 3음보 : 3개의 휴지로 끊어 읽는 율격으로, 보통 동적인 느낌을.. 고전문학 2015.05.27
국어의 시작과 끝3(현대문학과 고전문학편)이 출간되었습니다. 목차 제1부 문학의 갈래와 문예사조 제1장 어휘의 체계 제1장 문학의 갈래와 감상 방법 1. 문학의 본질과 기능 2. 문학의 갈래와 미의식 3. 문학 작품 감상의 방법 제2장 문예사조와 수사법 1. 문예사조 027 2. 문체와 수사법 제2부 현대시의 이론과 작품 이해 제1장 시의 이론 1. 시의 갈래 2. 시.. 고전문학 2013.11.13
2013 서울시 9급 14번 문제의 문제점 14. 다음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③ 2013 서울시 9급 紅牡丹(홍모단) 白牡丹(모단) 丁紅牡丹(뎡홍모단) 紅芍藥(홍쟉약) 白芍藥(쟉약) 丁紅芍藥(뎡홍쟉약) 御柳玉梅(어류옥) 黃紫薔薇(황쟝미) 芷芝冬柏(지지동) 위 間發(간발)ㅅ 景(경) 긔 엇더니잇고. 葉(.. 고전문학 2013.09.13
춘향전 전문과 해설 제1단 춘향과 이도령 숙종대왕 즉위 초에 성덕이 넙우시사 성자성손은 계계승승하사 금고옥적은 요순시절이요, 의관문물은 우탕의 버금이라. 좌우보필은 주석지신이요, 용양호위는 간성지장이라. 조정에 흐르는 덕화 향곡(곡)에 패엿시니 사해굳은 기운이 원근에 어려잇다. 충신.. 고전문학 2012.07.05
구운몽 전편과 해설 김만중 작품개관 구운몽은 서포 김만중이 남해 유배 시절 어머니 윤씨 부인의 한가함과 근심을 덜어주기 위하여 지었다고 전해지는 우리나라 양반 소설의 대표적 작품이다. 유교, 도교, 불교 등 한국인의 사상적 기반이 총체적으로 반영되어 있으며 불교의 공(空)사상이 중심을 이루고 .. 고전문학 2012.06.13
김성원의 시조에 대한 오해 “지나는 구름이 심히 궂어 밝은 달 가리우니,/한밤중 홀로 앉아 애달픔이 그지없다./바람이 이 뜻을 알아 비를 몰아 오도다.” 배경 지식이 없으면 간신(奸臣)의 전횡(專橫)을 풍자(諷刺)한 작품으로 오독(誤讀)하기 쉽겠다. (실제로 이렇게 오독하는 경우가 많다) 기록에 따르면 어머니 .. 고전문학 2012.06.09
시조 세 편 황희(黃喜, 1363-1452)는 조선 초기 왕권과 문물제도를 확립하는 데 크게 기여한 명신이다. <국조인물고(國朝人物考)>와 <문종실록>에 실린 황희의 졸기에 의하면, 호는 방촌(尨村)이고 본관은 장수이다. 고려말에 벼슬에 나가 성균관 학관이 되었다. 태조가 개국한 후에 세자 우정자.. 고전문학 2012.05.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