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맞춤법 조선말 규범집 맞 춤 법 경애하는 수령 김일성동지께서는 다음과 같이 교시 하시였다. <우리의 언어학자들은 글자개혁안을 연구하는 한편 지금의 넓적글자를 가지고도 보기 헐하도록 하기 위하여 적극 힘써야 합니다> (<김일성저작집> 20권, 351페지) 총 칙 조선말맞춤법은 단어에.. 맞춤법과표준어 2016.09.11
‘잎새’, ‘푸르르다’, ‘이쁘다’ 등 표준어로 인정 ‘잎새’, ‘푸르르다’, ‘이쁘다’ 등 표준어로 인정 ― 「2015년 표준어 추가 결과」 발표 ― 문화체육관광부 국립국어원(원장 송철의)은 국민들이 실생활에서 많이 사용하고 있으나 그동안 표준어로 인정되지 않았던 ‘잎새, 푸르르다, 이쁘다, -고프다’ 등 11항목의 어휘와 활용형을 .. 맞춤법과표준어 2015.12.23
좋은 문장 쓰기 좋은 문장 쓰기 1) 문법에 맞는 문장 제대로 된 논술을 쓰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문장을 정확하게 쓰는 것이 필요하다. 의미가 명확하지 않고 문법에 맞지 않는 문장은 생각을 제대로 전달할 수 없다. 문법이나 논리에 어긋나는 부정확한 문장을 비문이라고 한다. 다음은 비문이 되는 경.. 맞춤법과표준어 2015.08.05
2015 문장 부호 개정안 내용 1988년 「한글맞춤법」 규정의 부록으로 처음 선을 보였던 <문장 부호>가 26년 만에 새 옷을 입었다. 문화체육관광부(장관 김종덕, 이하 문체부)는 2014년 10월 27일 <문장 부호> 용법을 보완하는 것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한글 맞춤법」 일부개정안을 고시했다. 시행.. 맞춤법과표준어 2014.10.28
한글 맞춤법 문장 부호 개정안 문장 부호 세칙안 마련을 위한 토론회 2002. 11. 23. 국 립 국 어 연 구 원 목 차 □ 현행 규정···································· 3 □ 세칙안········································ 15 ◇ 현행 .. 맞춤법과표준어 2014.06.19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 정리 및 해설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 제1장 표기의 기본 원칙 제1항 국어의 로마자 표기는 국어의 표준 발음법에 따라 적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해설] ① 국어의 로마자 표기: 로마자란 그리스 문자에서 유래한 음소 문자로, 유럽 여러 나라를 중심으로 국제적으로 널리 쓰이는 알파벳 26자를 말한다. 로마자 이외.. 맞춤법과표준어 2011.08.07
'밭이랑'의 발음 제17항 받침 ‘ㄷ, ㅌ(ㄾ)’이 조사나 접미사의 모음 ‘ㅣ’와 결합되는 경우에는, [ㅈ, ㅊ]으로 바꾸어서 뒤 음절 첫소리로 옮겨 발음한다. 곧이듣다[고지듣따] 굳이[구지] 미닫이[미다지] 땀받이[땀바지] 밭이[바치] 벼훑이[벼훌치] [붙임] ‘ㄷ’ 뒤에 접미사 ‘히’가 결합되어 ‘티’를 이루는 것은 [.. 맞춤법과표준어 2011.07.26
받침 'ㅎ'의 발음에 대하여 제12항 받침 ‘ㅎ’의 발음은 다음과 같다. 1. ‘ㅎ(ㄶ, ㅀ)’ 뒤에 ‘ㄱ, ㄷ, ㅈ’이 결합되는 경우에는, 뒤 음절 첫소리와 합쳐서 [ㅋ, ㅌ, ㅊ]으로 발음한다. 놓고[노코] 좋던[조ː턴] 쌓지[싸치] 많고[만ː코] 않던[안턴] 닳지[달치] [붙임 1] 받침 ‘ㄱ(ㄺ), ㄷ, ㅂ(ㄼ), ㅈ(ㄵ)’이 뒤 음절 첫소리 ‘ㅎ’과.. 맞춤법과표준어 2011.07.25
받침의 발음[표준 발음법] 받침의 발음 제8항받침소리로는 ‘ㄱ, ㄴ, ㄷ, ㄹ, ㅁ, ㅂ, ㅇ’의 7 개 자음만 발음한다. [해설] ① 7 개 자음만 발음: 표기의 문제가 아니라 발음의 문제라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종성(終聲) 위치에서 실현되는 자음으로는 'ㄱ, ㄴ, ㄷ, ㄹ, ㅁ, ㅂ, ㅇ'의 7개가 있음을 규정한 것이다. '훈민정음'에서는 'ㅅ.. 맞춤법과표준어 2011.07.15
이중모음의 발음 제4항 ‘ㅏ ㅐ ㅓ ㅔ ㅗ ㅚ ㅜ ㅟ ㅡ ㅣ’는 단모음(單母音)으로 발음한다. [붙임] ‘ㅚ, ㅟ’는 이중 모음으로 발음할 수 있다. [해설] ① 단모음: 우선 단모음(單母音)은 홑홀소리라고도 하는데, 장모음(長母音)이 아니라 이중모음(二重母音)의 상대 개념이다. 단모음은 말소리를 내는 도중에 입술 모양.. 맞춤법과표준어 2011.07.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