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숙(宿)’에 대하여 ‘-숙(宿)’에 대하여 오늘 신문을 보다가 “ ‘찜질방 노숙’ 최문순”이라는 기사를 보았습니다. 이게 적절한 표현일까요? ‘노숙(露宿)’은 ‘한뎃잠’을 말합니다. 그리고 ‘한데’란 ‘사방, 상하를 덮거나 가리지 아니한 곳. 곧 집채의 바깥’을 말합니다. 아무리 생각해도 ‘찜질방’을 ‘한데.. 고등국어어휘력 2011.04.23
틀리기 쉬운 우리말 정리 틀리기 쉬운 우리말 정리 1. 꺼꾸로 ⇒거꾸로 한 단어 안에서 뚜렷한 까닭 없이 나는 된소리는 다음 음절의 첫소리를 된소리로 적는다. (한글 맞춤법 제5항) (1) 두 모음 사이에서 나는 된소리 (예) 소쩍새, 어깨, 오빠, 가끔, 거꾸로 (2) 'ㄴ, ㄹ, ㅁ, ㅇ'받침에서 나는 된소리 (예) 산뜻하다, 잔뜩, 살짝, 훨.. 고등국어어휘력 2011.04.21
고유어, 한자어, 외래어, 한글, 한자의 개념 이해 고유어, 한자어, 외래어, 한글, 한자의 개념 이해 어휘론은 비교적 최근에 와서야 주목을 받고 있는 분야입니다. 그래서일까요? 어휘론의 기초 개념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글을 많이 보게 됩니다. 한자, 한자어의 개념을 잘못 이해하는 경우도 그 예일 것입니다. 국어 어휘는 개별 단어의 기원이 어디냐.. 고등국어어휘력 2011.04.21
새 교과서에서 뽑은 어휘 어법 문제 3 [2012 수험생은 필독] 현재 시중에 나와 있는 국어 교재의 경우 내용이 충실하지만, 참신성에서는 다소 문제가 있습니다. 3-4년 전 심지어는 10년 전 기출문제를 중심으로 이론을 정리해 놓았기 때문입니다. 2011년도 국가직 9급 기출 문제를 보면, 교과서 전문가의 입장에서 볼 때, 중요한 변화가 간취됩니.. 고등국어어휘력 2011.04.20
새 교과서에서 뽑은 어휘 어법 문제 2 (21문항) 2011 국가직 9급 시험 문제를 잘 보면, 새 교과서 (2011년도부터 사용되고 있는 고등학교 국어 교과서)가 반영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김수영의 <파밭 가에서>가 바로 그 증거입니다. 이 작품은 새 교과서에 수록된 작품이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이번에는 새 국어 교과서를 이용해서 어휘 평가.. 고등국어어휘력 2011.04.19
새 교과서에서 뽑은 어휘 어법 문제(1) 새 교과서에서 뽑은 어휘 어법 문제(1) 2011 국가직 9급 시험 문제를 잘 보면, 새 교과서 (2011년도부터 사용되고 있는 고등학교 국어 교과서)가 반영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김수영의 <파밭 가에서>가 바로 그 증거입니다. 이 작품은 새 교과서에 수록된 작품이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이번에는.. 고등국어어휘력 2011.04.17
시험에 출제 예상되는 우리말 관용표현(30문항과 해설) (1-20) 다음은 관용표현의 뜻풀이이다. 빈 칸에 들어갈 말로 적절한 것은? 1. 꿩처럼 굴레를 벗고 쓴다. : ( )을 비꼬는 말. ① 꾀가 많은 사람 ② 욕심이 많은 사람 2. 개 머루 먹듯. : ( )을 이르는 말. ① 뜻도 모르면서 아는 체함 ② 다 알고도 모르는 체함 (1-2) 해설 : 1. 약기는 쥐새끼나 참새 굴레도 씌우겠.. 고등국어어휘력 2011.04.15
‘준말과 축약’ 관련 한글맞춤법 문제와 해설( 필수 10문항) ‘준말과 축약’ 관련 한글맞춤법 문제와 해설 1. 다음 중 올바른 준말 표기는? ① 디디고 → 딛고 ② 디디었다 → 딛었다 2. 다음 중 올바른 준말 표기는? ① 가지고 → 갖고 ② 가지어 → 갖어 (1-2) 해설 : “단어의 끝 모음이 줄어지고 자음만 남은 것은 그 앞의 음절에 받침으로 적는다.. 고등국어어휘력 2011.04.15
한자성어와 속담의 대응 관계 (필수 30문항) (1-20) 다음 한자성어 뜻풀이의 빈 칸에 알맞은 말은? 1. 가정맹어호(苛政猛於虎) : 혹독한 ( )의 폐가 큼을 이르는 말. ① 정치 ② 날씨 2. 교주고슬(膠柱鼓瑟) : ( )이 없음을 이르는 말. ① 융통성 ② 붙임성 3. 간담상조(肝膽相照) : 친구 간에 ( )없이 사귄다는 뜻. ① 허물 ② 신의 4. 갈택이어(竭澤而漁) : ( .. 고등국어어휘력 2011.04.14
새로 정리한 우리말 관용구, 관용표현 관용구(idiomatic phrase) 관용구(慣用句)란 흔히 영어에서 숙어(熟語)라고 말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eat humble pie’라는 어구의 의미를 생각해 보자. 각 단어에 충실하게 해석해 보면, ‘보잘것없는 파이를 먹다.’ 정도일 것이다. 그런데 이 어구는 “잘못을 인정하다.”라는 뜻으로 쓰인다. 그 어원을 .. 고등국어어휘력 2011.04.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