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말 한자어에 대한 이해 한자어는 중국의 한자를 기반으로 하여 만들어진 단어들이다. 이 중에는 중국에서 들어온 말, 일본에서 만들어져 우리나라로 유입된 말, 우리 스스로 만들어 낸 말 등이 있다. 한자어를 두고 우리말이 아니라고 하는 사람도 있지만, 이를 우리말이 아니라고 생각하기는 어렵다. 한자어를 한자로 적으.. 한자와 한문 2011.04.11
훈민정음과 한글에 대한 이해 ‘훈민정음’(글자 이름)은 1443년(세종 25년) 세종에 의해 만들어지고(invent), 1446년(세종 28년)에 그 훈민정음을 실제로 적용한 <훈민정음>(책 이름)이 발간되었다. 훈민정음은 초성 17자, 중성 11자, 도합 28자(28 characters)의 음소문자로서, 그 중 몇 개가 사라졌지만, 그것을 토대로 한 문자가 오늘날의 .. 국어문법강의 2011.04.11
새로 정리한 우리말 관용구, 관용표현 관용구(idiomatic phrase) 관용구(慣用句)란 흔히 영어에서 숙어(熟語)라고 말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eat humble pie’라는 어구의 의미를 생각해 보자. 각 단어에 충실하게 해석해 보면, ‘보잘것없는 파이를 먹다.’ 정도일 것이다. 그런데 이 어구는 “잘못을 인정하다.”라는 뜻으로 쓰인다. 그 어원을 .. 고등국어어휘력 2011.04.10
<사노친곡>(사로친곡) 상세 해설 및 EBS 수능특강 언어영역 검토 다음은 EBS 수능특강 언어영역 <학습QnA> 게시판에 올라온 수험생의 질문과 강사(혹은 게시판 담당자)의 답변입니다. 한번 검토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EBS 언어영역 강의와 교재 그리고 질문 답변의 실상을 이해하는 계기가 되길 바랍니다. <수험생의 질문> [교재내용 관련7강 46쪽 4번] 질문 작성.. 고전문학 2011.04.09
반드시 익혀야 할 필수 한자어 200개 [제2편] 다음 한자어의 독음을 쓰시오. 여기 정리한 것은 성인이라면 반드시 알아야 할 한자어 추가 200개입니다. 쓸 줄은 몰라도, 반드시 정확하게 읽을 줄은 알아야 합니다. 그리고 그 의미도 정확하게 알아야 합니다. 적어도 이 정도는 알아야 국한문 혼용의 신문을 읽을 수 있습니다. 이 정도는 교양인의 기.. 한자와 한문 2011.04.07
반드시 익혀야 할 필수 한자어 200개 [제1편] 여기 정리한 것은 성인이라면 반드시 알아야 할 한자어 200개입니다. 쓸 줄은 몰라도, 반드시 정확하게 읽을 줄은 알아야 합니다. 그리고 그 의미도 정확하게 알아야 합니다. 적어도 이 정도는 알아야 국한문 혼용의 신문을 읽을 수 있습니다. 이 정도는 교양인의 기본입니다. 각종 시험에 자주 출제되.. 한자와 한문 2011.04.07
이런 한자어는 독음이 어려워! - 제 2 편- 이런 한자어는 독음이 어려워! - 제 2 편- - 아래 한자어들은 비교적 자주 사용되는 것들입니다. 꼼꼼하게 자전을 참고하여 공부해 보면, 왜 이런 한자들이 선정되었는지 알게 될 것입니다. 당연히 각종 시험에서 자주 출제되는 것들입니다. - [1] 다음 한자어의 올바른 독음(讀音)은? ① 走馬看山 / 看過 /.. 한자와 한문 2011.04.07
이런 한자어는 독음이 어려워! -제 1 편- 이런 한자어는 독음이 어려워! [1] 다음 한자어의 올바른 독음(讀音)은? ① 降伏 / 降水量 / 昇降機 / 降雪 ② 索引 / 索莫 / 索出 ③ 更生 / 更新 / 甲午更張 ④ 惡質 / 憎惡 / 惡事千里 ⑤ 數量 / 頻數 / 數罟 ⑥ 塞翁之馬 / 閉塞 ⑦ 難易度 / 周易 / 平易 / 易姓 ⑧ 說得 / 遊說 / 學而時習之不亦說乎 ⑨ 音樂 .. 한자와 한문 2011.04.06
재미있고 유용한 단위어 공부 [70개] 재미있고 유용한 단위어 공부 [70개] [1] 다음 단위어의 쓰임이나 설명이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두엄 다섯 가락 ② 이 글은 세 가름으로 이루어져 있다. ③ 땔나무 세 가리가 있다. ④ 한 섬[石]은 두 가마이다. ⑤ 보리 서 말 가웃 ⑥ 배추를 심은 간살마다 파를 심었다. ⑦ 저 기와집은 일곱 간통이나 되.. 고등국어어휘력 2011.04.06
당신의 우리말 실력은? (3) 밥 [12문항] 당신의 우리말 실력은? (3) 밥 [1] 다음 우리말의 뜻풀이로 잘못된 것은? ① 가랫밥 : 가래로 떠낸 흙의 덩이 ② 가윗밥 : 가위질을 해서 생기는 부스러기 ③ 간질밥 : 손으로 몸을 건드리거나 문질러서 간지럽게 하는 짓 ④ 갈큇밥 : 갈퀴로 긁어모은 검불이나 갈잎 ⑤ 기름밥 : 기계를 가동하면서 생긴 기.. 고등국어어휘력 2011.04.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