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소설 공부에 꼭 필요한 개념 정리
1. 판소리계소설 : 판소리 사설에서 파생되었거나 판소리와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는 소설의 총칭. 주인공이 비범성을 띠지 않고, 현실적인 가치관과 사회 현상이 전면에 부각되는 것이 특징.예)<춘향전>,<심청전>,<흥부전>,<토끼전> 등.
2. 주제의 양면성 : 판소리의 수용자인 양반 계층과 서민 계층의 요구를 수용한 결과로, 주제가 표면적 주제와 이면적 주제로 갈려 나타나는 현상.
① 표면적 주제 : 겉으로 드러내 강조하고 있는 주제. 대개 전통적인 유교 윤리를 강조하는 것이어서, 당대 지배 계층이었던 양반들이 작품을 권장하는 근거가 됨.
② 이면적 주제 : 작품에 내재되어 있는 주제. 조선 후기 민중 의식을 반영한 것이 보통.
예)
①<춘향전>의 경우
-표면적 주제 : 여인(=춘향)의 정절.
-이면적 주제 : 신분적 제약에 서 벗어난 인간해방, 신분 상승의 추구.
② <흥부전>의 경우
-표면적 주제 : 형제간의 우애. 인과응보.
-이면적 주제 : 빈부의 갈등.
3. 근원설화 : 문학작품의 모체(母體)가 된 설화. 설화에서 전적으로 취재했거나 그것을 변형시켰거나 또는 그것이 작품의 한 부분을 형성한 경우는 소설 ·시 ·희곡 등 문학 일반에 나타나는 현상이나, 특히 소설에서 두드러지며 또 고전소설에서 더욱 자주 나타남.
예) <심청전>의 근원설화 : 인신공희설화(人身供犧說話), 맹인개안설화(盲人開眼說話) ·효행설화 ·용궁설화 ·환생설화 등.
4. 장면의 극대화 : 주어진 장면에서 기대되는 효과를 최대화하기 위해 가능한 문학적 장치를 최대화하는 것. 장면을 극대화하다 보면 해당 장면이 인물의 앞뒤 행위가 일관성을 잃는 경우도 있음. 즉 장면의 독자성이 강화됨.
예) 흥보가 품을 팔졔, 오 부질언니 셔둘어 평평 김기, 원 근 시초 부기, 먹고 돈 셔두리 십리 돈 반 승교 메기, 신 셕어 밤짐 지기, 시멘 공 급쥬 가기, 방 난 듸 죡역군, 담 쌋난 듸 자갈 쥿기, 봉 가셔 모품 팔기, 구영의 약젼, 쵸난 집 부고 젼키, 츌할 제 명졍 들기…….
5. 환몽구조 : 구성이 ‘현실-꿈-현실’과 같은 구조를 갖는 구조. 그 효과는 이야기의 허구성을 강화하고, 꿈속의 세계와 현실의 대비를 통해 주제를 좀 더 적극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는 것. 그 결과 몽유 형식의 소설은 ‘현실적인 욕망과 심각한 문제→ 꿈속에서의 문제 해결→각몽 이후의 깨달음’이라는 기본 구조를 갖게 됨.
예) <조신몽>의 환몽구조
현실 | 세속적 욕망 | 김흔의 딸을 흠모 |
꿈 | 소망 달성 | 부부가 됨 |
고통 | 가난의 고통 | |
이별 | 부인과 이별 | |
현실 | 각성 | 욕망의 허무함 자각, 불도에 매진 |
6. 영웅의 일대기 : 영웅 소설의 일반적인 구조. 일반적으로 ‘고귀한 혈통→기이한 탄생(비정상적인 출생)→ 어려서 고생(기아, 가족과의 헤어짐 등)→구출자의 양육→비범한 재주→매력적인 이성→성장 후의 위기→구원자의 도움과 영웅적 능력으로 위기를 극복하고 승리’의 형식을 취함.
예) <유충렬전>의 영웅 서사 구조
영웅소설의 일반적인 구조 | <유충렬전>의 내용 |
고위한 혈통 | 현직 고관 유심의 외아들 |
비정상적 출생 | 부모가 선천에 기도하여 늦게 얻은 아들 |
탁월한 능력 | 천상인의 하강이기에 비범한 능력을 지님 |
가족과 헤어짐 | 간신 정한담의 박해로 죽을 고비에 처함 |
구출과 양육 | 구출자 강희주의 사위가 됨. 도승을 만나 도술을 배움 |
성장 후 위기 | 정한담과 결탁하여 난을 일으켜 나라가 위기에 처함 |
고난 극복과 성공 | 영웅적 능력을 발휘해 천자를 구함. 난을 평정함. 가족과 만나 부귀 영화를 누림. |
7. 전기적 성격: 원래 기(奇)를 전(傳)한다는 뜻으로, 소설 내용에 환상적인 세계를 무대로 하는 기이한 사건이나, 비현실적인 무용담(武勇譚) 등이 포함되어 있음을 가리킴. 예를 들어 <홍길동전>에서 길동이 둔갑법을 사용하는 장면이나, 바람과 비를 마음대로 불러오는 것 등은 모두 전기성이 두드러지는 장면.
예) 밤중이 거의 되자 희미한 달빛이 들보를 비춰 주는데, 낭하(廊下)에서 발자국 소리가 들려 왔다. 그 소리는 먼 데서 차차 가까이 다가온다. 살펴보니 사랑하는 아내가 거기 있었다. 이생은 그녀가 이미 이승에 없는 사람임을 알고 있었으나 너무나 사랑하는 마음에 반가움이 앞서 의심도 하지 않고 말했다.-김시습, <이생규장전>
8. 모티브 : 문학 작품에 자주 반복되어 나타나는 특정한 요소를 가리킴. 모티프는 개별적이고 구체적으로 규정된 사물이나 사건의 성격을 가지는 소재와는 달리 애증, 복수, 한탄, 연민, 민족애 등과 같이 추상적인 성격을 가질 수도 있고, 소재 그 자체처럼 구체적일 수도 있음.
① 적강 모티브 :' 적강'이란 신선(=천상의 인물)이 (보통 죄를 지어 유배 형식으로)인간 세상에 내려온다는 이야기의 요소를 말함. 이러한 이야기를 지닌 소설을 적강소설이라고 함. 대개의 영웅 소설들은 천상계와 지상계라는 이원적 공간을 설정하고 주인공이 어떤 잘못으로 지상계에 추방된다는 적강(謫降) 화소를 지님. <유충렬전>도 이런 유형에 속하는데, 적강 화소는 작품 전체에서 복선의 구실을 함.
예) <유충렬전>의 적강 화소
천상계 → 지상계
자미원 장성(↔익성) ▶ 유충렬(↔정한담)
예) <유충렬전>, <숙영낭자전> 등
② 변신모티프 : 사람이 다른 사람으로 변한다든지, 사람이 동물로 변한다든지 혹은 그 반대의 경우 등 변신을 내용으로 하는 이야기. 변신 모티브는 구성상의 전환점 구실을 하는 경우가 많음.
예를 들면 <박씨전>에서 박씨의 변신은 비범한 부덕(婦德)과 부공(婦公)은 물론 신묘한 도술로써 징벌 의식적인 전생의 죄를 벗고 새로운 사회 관계를 형성하며 여성의 우수한 능력을 보여주는 계기로 작용하고 있음.
9. 편집자적 논평
고대 소설의 상투적 수법으로 작가가 작품 속에 직접 개입하여, 독자(청자)들의 울분을 직접 어루만지기도 하고, 때로는 인물들을 평하기도 하여 극적 효과를 극대화하는 방법.
예) 겨우 대답하고 물러나와 내아(內衙)에 들어간다. 사람이 위아래를 막론하고 모친께는 허물이 적은지라.-<춘향전>-
10. 긴장과 이완 : 판소리에서 두드러진 현상으로 숭고미, 비장미를 드러내는 긴장된 부분과 골계미, 해학미를 드러내는 이완된 부분이 교차하는 현상.
예) 긴장 : 적벽강이 뒤끓으니 불빛이 낮빛이로구나. 가련할손 백만 대병, 날도 뛰도 못하고 적벽에 몰살할 제, 황개(黃蓋)의 제장 군졸 일시에 달려들어,
이완 : 여덟 ‘팔’자 비껴서서 편전을 따르르르르르르 깍지손을 때떼르니, 번개 같은 살이 사모 뀌어 건너가고, 쇠도리채 휘휘 둘러, 어릅파를 , 신기전의 픽 시르르르르르르 방패 맞어 박살하고, 일등 명장 다 죽을 제, 칼 들고 엎지난 놈, 활 들고 기난 놈과, 적벽강 위진 군사 화염 중에 다 죽는다. -<적벽가>-
11. 희화화 : 웃음을 유발하여 즐거움을 줄 목적으로 대상의 특정 부분을 과장하거나 열등한 면을 강조하여 우스꽝스럽게 묘사하는 것.
예) 정욱이 여짜오되, “이제는 아무것도 없사오니 승상님 목을 늘어 사면을 살피소서.” “아, 인제 진정 조용하냐?” “예, 조용합니다.” 조조 막 목을 늘이랴 할 제, 의외의 메초리 한 마리가 조조 말굽 사이에서 푸루루루루루루 날아가니, “아이고, 정욱아, 내 목 있나 보아라.”-<적벽가>-
12. 가전체 양식 : 가전이란 어떤 사물의 이야기를 역사적 인물의 이야기처럼 전체적으로 의인화하여 전기 형식으로 만든 이야기를 말함. 예를들면, <공방전>은 돈을 의인화한 가전으로, 돈의 유래와 돈이 생활에 미치는 이득과 폐해를 사람의 행동에 빗대어 보여주는 작품으로, 사람들이 재물을 탐하는 것을 경계한 작품. 인간사의 문제를 우회적인 수법으로 다루는 형식이라서 풍자적, 교훈적 성격이 강함.
가전 | 대상 | 주제 |
국순전 | 술 | 향락에 빠진 왕과 간신 풍자 |
공방전 | 돈 | 재물 탐함 경계 |
죽부인전 | 대나무 | 여성의 정절 찬양 |
13. 혼사장애모티프 : 신분상의 차이 등으로 인하여 혼사를 이루는 과정에서 고초를 겪는 내용의 이야기. 일종의 통과 제의적 성격을 갖는 경우가 많음.
예) 그러나 심생은 아무리 조심을 하여도 집에서는 그가 바깥에서 자고 오래 돌아오지 않는데 의심하지 않을 수 없었다. 그리하여 절에 가서 글을 읽으라는 명이 내리었다. 심생은 마음에 몹시 불만이었으나, 집의 압력을 받고 또 친구들에게 이끌리어 책을 싸들고 북한산성(北漢山城)으로 올라갔다.-이옥, <심생전>
'고전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하연(河演)과 강회백(姜淮伯) (0) | 2019.09.24 |
---|---|
백영숙(白永叔)을 기린협(基麟峽)으로 보내며-박제가(朴齊家) (0) | 2015.08.01 |
고전시가 필수 개념 정리 (0) | 2015.05.27 |
국어의 시작과 끝3(현대문학과 고전문학편)이 출간되었습니다. (0) | 2013.11.13 |
2013 서울시 9급 14번 문제의 문제점 (0) | 2013.09.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