훈민정음과 한글에 대한 이해 ‘훈민정음’(글자 이름)은 1443년(세종 25년) 세종에 의해 만들어지고(invent), 1446년(세종 28년)에 그 훈민정음을 실제로 적용한 <훈민정음>(책 이름)이 발간되었다. 훈민정음은 초성 17자, 중성 11자, 도합 28자(28 characters)의 음소문자로서, 그 중 몇 개가 사라졌지만, 그것을 토대로 한 문자가 오늘날의 .. 국어문법강의 2011.04.11
사동사 주동사 타동사 자동사 그리고 만언사 추자도의 보리가을 동사의 분류-자동사, 타동사, 사동사, 주동사 움직임이 주어에만 미치는 동사를 자동사라 하고, 움직임이 주어 이외에 목적어에도 미치는 동사를 타동사라고 합니다. 그런데 타동사 중에는 원래 타동사였던 것과 자동사가 타동사로 변한 것이 있습니다. ① 먹다 : 밥을 먹다/술을 먹다/약을 먹다 ② 피.. 국어문법강의 2011.04.04
하희정 국어 교실 제1회 모의고사 1. 밑줄 친 단어와 품사가 다른 것은? 그는 말을 않고 떠났다. ① 그는 내일 집에 있는다고 했다. ② 모두 손을 든 상태로 있어라. ③ 앞으로 나흘만 있으면 망종이다. ④ 오늘 모임이 있으니 모두 참석하세요. 2. ㉠-㉣를 분석한 결과로 옳지 않은 것은? ㉠ 너 지금 무얼 하니? / 나 지금 책을 a읽어. // 너 .. 국어문법강의 2011.02.10
공무원 되는 길, 아는만큼 넓어진다 [아시아경제 황석연 기자] 이애란 경장은 도봉경찰서 쌍문지구대에서 근무한다. 순찰을 도는 동료순경들을 지원해주는 것이 그녀의 임무다. 초등학교 때부터 군인이나 경찰관이 되고 싶다는 생각을 했는데 대학은 경찰과는 전혀 관련이 없는 방송기술 분야를 전공했다. 졸업후 잠시 회사를 다니기도 .. 국어문법강의 2011.01.18
음운상의 특질(두음법칙) *국어의 음운상의 특징에 대한 강의인데, 특히 두음 법칙에 대한 것입니다. 교재의 설명 중 수험생들이 이해하기 어려운 부분이 있습니다. 기존 교재가 고등학교 교과서 <국어의 특질>을 요약하는 과정에서 친절하지 못 해서 생긴 문제가 아닌가 싶습니다. 먼저 교과서 해당 부분을 제시하고 강의.. 국어문법강의 2011.01.03
언어의 기능(야콥슨) * 제3강은 언어의 기능 관련입니다. 수능에서도 많이 다루는 내용입니다. 관련 글 하나로 대체합니다. 다만 용어 사용에 혼란이 많습니다. 제6차 교육과정 국어 교과서의 이용주 교수님(저의 은사님)의 ‘언어의 체계 구조 기능’에 사용된 개념을 사용한 경우도 있고, 야콥슨의 용어를 사용한 경우도.. 국어문법강의 2011.01.03
언어의 체계성 *이번 강의는 언어의 체계성에 대한 것인데, 기존의 많은 교재가 적절한 설명을 보여주고 있지 못한 부분입니다. 제2강 언어의 체계성 제1단계(개념 탐색) : 언어는 체계를 이루고 있다. 이 때, ‘체계’란 ‘서로 긴밀한 관련을 가지고 있는 선택 가능항의 집합’을 의미한다. 상위개념 : 언어의 구조적 .. 국어문법강의 2011.01.03
언어의 자의성 제1강 언어의 자의성 제1단계(개념 탐색) : 언어는 일종의 기호이며, 언어의 내용(=의미, 뜻, 기의)과 언어의 형식(=말소리, 형태, 기표) 사이에 필연적인 관계가 없다. 상위개념 : 기호로서의 언어, 즉 상징 기호로서의 언어(기호에는 도상기호, 지표기호, 상징 기호가 있는데, 언어는 상징 기호에 해당함... 국어문법강의 2011.01.03
하희정의 공무원 국어 학습법(단계와 스킬) 국어 공부 방법을 안내하는 글입니다. 지나치게 거창해 보입니다만, 특별한 방법이라기 보다 효율적인 방법이라고 해야할 듯하고, 모든 부분에 다 통하는 것은 아니고, 많은 부분에서 통하는 수험생의 학습 매뉴얼이라고 해야 할 듯 합니다. 개념 학습법이라해도 될 듯합니다. [1] 공무원 국어 공부의 .. 국어문법강의 2011.01.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