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음-조음 위치와 조음 방법에 따른 분류 자음-조음 위치와 조음 방법에 따른 분류 목청을 통과한 공기가 조음부의 특정 위치에서 상당한 방해를 받으면서 나는 소리가 자음(子音)이다. 이때 장애가 일어나는 위치를 조음 위치(place of articulation)라 한다. 조음 위치가 어디냐에 따라 음가가 달라진다. 조음 위치에 따라 분류할 때, 자음에는 두 .. 국어문법강의 2011.05.07
단모음, 이중모음, 반모음 모음-단모음, 이중모음, 반모음 날숨이 목청 사이를 지나면서 목청이 떨어 울리면 소리가 난다. 그 소리는 혀의 위치나 입술의 모양에 따라 달라진 입안을 통과하면서 공명(共鳴)이 일어난다. 이 때 나는 소리 중, 특별한 장애를 받지 않고 나는 소리가 모음(母音)이다. 즉 폐에서 올라온 기류가 조음부.. 국어문법강의 2011.05.07
음운의 개념-음성, 음소, 운소, 음운 음운의 개념-음성, 음소, 운소, 음운 언어는 말소리와 의미의 결합체이다. 이 때 말소리를 음성(音聲)이라고 한다. 자연계에는 많은 소리가 존재하는데, 그 중에서 사람의 발음 기관으로 내는 소리를 음성 또는 언어음(言語音)이라고 하는 것이다. 그런데 물리적인 측면에서 볼 때, 음성은 사람마다 다.. 국어문법강의 2011.05.06
속격, 관형격 조사 '의'에 대하여 명사와 명사 사이에 나타나 두 명사를 더 큰 명사구로 묶어주는 조사 ‘의’를 흔히 속격(屬格) 또는 소유격(所有格)을 나타내는 기능을 한다고 하여 속격조사, 또는 소유격 조사라고 한다. 이처럼 더 큰 명사구를 이룰 때, ‘의’는 앞 명사로 하여금 뒤의 명사를 수식하는 구실을 하게 한다. 이 때문.. 국어문법강의 2011.05.06
음소, 상보적 분포에 대하여 음성의 바다 속에서 의미 분화의 기능을 가지는 음소를 추출하기란 쉬운 일이 아니다. 다행히 1930년대 미국 인디언 언어를 연구하던 블룸필드와 그 후계자들이 음소 발견을 위한 방법과 순서를 체계화시켜 놓았다. 그들이 제안한 음소 발견 과정은 제시한 방법은 ‘최소대립쌍을 찾아라’, ‘상보적 .. 국어문법강의 2011.05.01
화용론; 신정보와 구정보에 대하여 언어의 사용은 원칙적으로 화자와 청자 사이에서 일어난다. 화자가 그의 의식 속에 있는 어떤 정보(information)를 청자에게 전달하는 과정을 우리는 의사소통이라고 말한다. 정보의 전달은 담화 상황에서 문장을 통해서 이루어지는데, 이때 화자는 정보가 효과적으로 청자에게 전달될 수 있도록 문장을 .. 국어문법강의 2011.05.01
의존명사 - ‘대로’, ‘듯’, ‘지’에 대하여 의존명사 - ‘대로’, ‘듯’, ‘지’ -수험생들이 매우 어려워하는 사항입니다. 각종 교재의 설명도 미흡해 보입니다. 여기서는 의존명사 전반에 대한 검토를 하는 것이 아니라, 의존명사 중에서 같거나 비슷한 형태로 조사나 어미로 사용되는 것들을 중점적으로 다뤄 보겠습니다. [1] 의존명사의 개.. 국어문법강의 2011.04.27
된소리되기 쉽게 정리하기 [1] 한글맞춤법 제5항 된소리 해설 (1) [선행지식] 이 조항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우선 된소리되기[硬音化]에 대한 이해가 필수적이다. 된소리되기는 통상 다음 두 가지를 말한다. ① 음절의 끝소리로 오는 불파음 [ㅂ,ㄷ,ㄱ](음절 끝소리에서의 겹자음 탈락 규칙이 적용된 경우 포함) 뒤에 오는 예사소리.. 국어문법강의 2011.04.27
훈민정음, 기초 문법 정리(10문항) 매우 기초적인 후기 중세 국어 문법입니다. 이와 관련해서는 이미 훈민정음 관련 내용을 자세히 정리한 파일을 올렸습니다. 미리 읽고 풀면 좋을 것입니다. 국어문법강의 2011.04.18
2011 국가직 국어 9급 문제 및 해설 문 1. 밑줄 친 말 중 표준어인 것은? ① 담쟁이덩쿨은 가을에 아름답다. ② 벌러지를 함부로 죽이면 안 돼. ③ 쇠고기는 푸줏관에서 팔고 있다. ④ 아이가 고까옷을 입고 뽐내고 있다. 정답 : ④ 해설 : 표준어 규정 제26항 복수표준어. ‘꼬까/때때/고까’ 모두 표준어이다. ① 표준어 규정 제26항 복수표.. 국어문법강의 2011.04.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