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문법강의

단어 간의 의미 관계, 그 유형에 대하여

국어의 시작과 끝 2011. 5. 26. 02:47

 

단어의 의미 관계

 

단어 간의 의미 관계는 계열 관계와 복합 관계로 나뉜다. 먼저 계열 관계에는 유의 관계, 반의 관계, 상하 관계, 부분 관계 등이 있다. 다음 복합 관계에는 다의 관계와 동음이의 관계가 있다.

 

 

(1) 유의 관계

 

말소리는 다르지만 의미가 서로 비슷한 단어 간의 관계를 유의 관계라 한다. 즉 유의 관계는 의미가 같거나 비슷한 둘 이상의 단어가 맺는 의미 관계를 말하며, 그 짝이 되는 말들을 ‘유의어’라고 한다. 유의 관계의 대부분은 개념적 의미의 동일성을 전제로 한다. 그렇다고 하여 유의 관계를 이루는 단어들을 어느 경우에나 서로 바꾸어 쓸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언어 상황에 적합한 말을 찾아 쓰도록 노력하여야 한다. 유의어는 말의 맛을 달리 하기 위하여 만들어지기도 하며, 특정 단어를 꺼려하는 금기 현상 때문에 만들어지기도 한다.

 

 

다음은 국어 단어의 유의 관계를 잘 보여주는 것들을 정리한 것이다.

 

 

- 말(言語): 언어(言語), 말씨, 언사(言辭), 언사(言詞), 언설(言說), 언구(言句), 어사(語辭), 소문, 이야기, 회화, 대화

- 죽다: 숨지다, 숨넘어가다, 숨 끊어지다, 눈감다, 사망(死亡)하다, 절명(絶命)하다, 영면(永眠)하다, 별세(別世)하다, 작고(作故)하다, 타계(他界)하다, 운명(殞命)하다

- 깨닫다 : 알아내다, 깨우치다, 터득하다, 각지(覺知)하다, 알다, 알아차리다, 인식하다, 각성하다, 경성(警醒)하다, 전환(悛換)하다

- 뚜렷하다 : 선명하다, 분명하다, 정확하다, 선연(鮮然)하다, 역연(亦然)하다, 또렷하다, 완연(完然)하다

- 가끔 : 더러, 이따금, 드문드문, 때로, 간혹, 자주

- 지금 : 이제, 바로, 현재, 곧, 금방, 금시, 당금(當今), 현세, 현시, 이제 바로

- 과부: 홀어미, 미망인, 과수, 원녀(怨女), 과녀(寡女), 과댁(寡宅), 과모(寡母), 고자(孤雌)

 

 

 

그런데 유의어는 동의어가 아니기 때문에, 미묘한 의미상의 차이가 있을 수밖에 없다. 예를 들면, ‘아름답다, 예쁘다, 어여쁘다, 곱다’도 유의어이지만 결합할 수 있는 말은 각기 다르다. 이러한 의미의 차이 때문에 꼭 맞는 말을 찾아 쓰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 아름답다 : 보이는 대상이나 음향, 목소리 따위가 균형과 조화를 이루어 눈과 귀에 즐거움과 만족을 줄 만하다.

- 예쁘다: (주로 사물의 구체적인 모양이) 작고 깜찍하고 귀여워 보기 좋다.

- 어여쁘다: (주로 사람이나 인격화된 대상, 또는 그것의 품성이) 기쁘고 사랑스런 느낌을 준다.

- 곱다: (주로 사물의 색깔이나 촉감이) 부드러운 느낌을 주어 보기 좋다

 

 

아름답다

예쁘다

어여쁘다

곱다

소녀가

마음씨가

X

X

X

걸음걸이가

X

X

X

경치가

X

X

X

 

 

(2) 반의 관계

 

동일한 언어 내에서 동일한 의미 분야에 속하고, 또한 그 가운데에서 반대적인 의미를 나타내는 단어 간의 관계를 반의 관계라 한다. 대립 관계 또는 반대 관계라고도 한다. 좀더 엄밀하게 말하면 ‘반대적인 의미’라는 말은 ‘남자:여자, 살다:죽다’처럼 전자의 부정이 곧 반의어가 되는 경우, ‘크다:작다, 좋다:나쁘다’처럼 대립 양상을 보이지만 그 사이에 여러 단계의 중간 영역이 있을 수 있는 경우, ‘사다:팔다, 주다:받다’처럼 역(逆) 관계의 양상을 띠는 경우를 아우른다.

 

 

① 등급 반의어

등급 반의어는 대립 관계에 있는 두 어휘 항목을 동시에 부정해도 모순되지 않는 반의 관계를 이룬다. “많지도 않고 적지도 않다.”라는 예에서 보듯 양극 어디에도 속하지 않는 중립 지역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예)

- 척도 반의어 : 길다:짧다, 높다:낮다, 깊다:얕다, 넓다:좁다, 두껍다:얇다, 크다:작다, 세다:여리다, 무겁다:가볍다

- 평가 반의어 : 좋다:나쁘다, 쉽다:어렵다, 영리하다:우둔하다, 유능하다:무능하다, 부지런하다:게으르다, 선하다:악하다

- 정감 반의어 : 덥다:춥다, 뜨겁다:차갑다, 기쁘다:슬프다, 상쾌하다:불쾌하다, 달다:쓰다

 

 

② 상보 반의어

두 단어가 양분적 대립 관계에 있어 상호 배타적인 영역을 가질 때, 각각을 상보 반의어라 한다. “그는 죽지 않았다. 곧 그는 살아 있다.”에서 보듯 한쪽을 부정하면 다른 쪽을 긍정하는 결과로 이어지는 것이 특징이다.

 

예) 살다:죽다, 남자:여자, 참:거짓, 출석하다:결석하다, 합격하다:불합격하다, (과녁에) 맞다 : 빗나가다, 기혼자:미혼자

 

 

최근 정신적으로나 육체적으로나 남녀의 중간적인 존재인 양성보유자를 상정하거나, 사망 여부에 대한 법의학적 논란이 있는 식물인간 등이 있기는 하다. 그러나 그것과는 별개로 언어적으로 ‘살다:죽다’나 ‘삶:죽음’은 상보적 반의 관계를 이룬다.

 

 

③ 방향 반의어

방향 반의어는 어떤 기준점을 중심으로 하여, 맞선 반향으로의 움직임 등을 나타내는 대립적인 언어쌍을 말한다. “올라가다:내려가다, 전진하다:후퇴하다‘에서 보듯 한쪽의 움직임은 다른쪽의 움직임과 맞선 방향을 향하고 있다.

 

 

예)

- 역의어(逆意語) : 팔다:사다, 주다:받다, 가르치다:배우다, 형:동생, 조상:후손, 주인:하인, 상관:부하

- 대척어(對蹠語) : 천당 : 지옥, 천재:천치, 남극:북극, 출발선:경승선, 시작:끝, 출발하다:도착하다, 머리:발끝

- 역동어(逆動語) : 가다:오다, 들어가다:나오다, 열다:닫다, 길어지다:짧아지다, 넓어지다:좁아지다, 강해지다:약해지다

 

 

한편 반의어는 반드시 한 쌍으로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한 단어에 여러 개의 단어가 대립하는 경우도 있다.

예)

다의어 : 뛰다 ↔ 걷다, 내리다, 떨어지다.

→중심적 의미 : 철수가 빨리 뛰었다 ↔ 철수가 천천히 걸었다.

→주변적 의미 : 물가가 뛰었다 ↔물가가 내렸다 / 떨어졌다.

 

 

 

 

(3) 상하 관계

한쪽이 의미상 다른 쪽을 포함하거나 다른 쪽에 포함되는 의미 관계를 상하 관계라 한다. 이 때 포함하는 단어를 상의어(上義語), 포함되는 단어를 하의어(下義語)라 한다. 흔히 상하관계는 생물학적 분류 기준인 ‘종(種)’이 유지되는 단어들 사이에서 나타난다.

 

예)

새: 참새, 갈매기, 꿩, 까마귀, 독수리… : 매(송골매, 보라매, 해동청…

 

 

그런데 상하관계에서 상정하는 분류법은 과학적인 분류법이 아니다. 언어 의미의 상하 관계에는 어떤 언어공동체가 공유하고 있는 보편적인 판단에 따른 민간 분류법이 적용된다. 예를 들면, 무화과는 꽃이 피지 않는 과실이라고 해서 무화과라고 하나 실제로 꽃은 과실 내에서 피므로 외부로 나타나지 않을 뿐이다. 이 경우 그것을 두고 ‘열매’로 분류할 수도 있고, ‘꽃’으로 분류할 수도 있다. 또 ‘수박’이나 ‘참외’를 야채로 볼 수도 있고, 과일로 볼 수도 있다. 생물학적 분류 기준을 적용할 때와 민간 분류법을 적용할 때, 그 결과가 다를 수 있는 것이다.

 

 

 

(4) 부분 관계

한 단어가 다른 단어의 부분이 되는 관계가 부분관계(meronymy)이다. ‘전체 부분 관계’라고도 한다. 부분관계에서 부분을 가리키는 단어를 부분어, 전체를 가리키는 단어를 전체어라고 한다. 예를 들면, ‘머리, 팔, 몸통, 다리’는 ‘몸’의 부분어이며, 이러한 부분어들에 의해 이루어진 ‘몸’은 전체어이다.

 

상하관계는 부류관계로서 한 종류인가 아닌가를 따짐으로서 어렵지 않게 그 계층 구조를 설정할 수 있다. 그러나 전체 부분 관계는 그렇지 않다. 동일한 단어일지라도 구분의 원리에 따라 부분이 다르게 나타날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팔’과 ‘심장’은 동일하게 ‘몸’의 부분임에 분명하다. 그러나 적용된 구분의 원리가 다르다. 따라서 한 계층 구조 속에 동시에 나타날 수 없다.

 

 

 

(5) 다의 관계

다의어(多義語, polysemy)는 두 가지 이상 다른 의미를 갖는 단어를 가리키는 말로, 하나의 의미만 갖는 단의어(單義語:monosemy) 및 동음어(同音語:homonym)와 대립되는 개념이다. 그러나 다의어가 두 가지 이상 다른 의미를 갖는다고는 하지만, 의미는 분명히 다르면서도 연관성이 있어야 한다. 그러나 ‘분명히 다르나 연관성’이라는 표현이 다른 개념과 구별되는 기준이 되나 확연히 구별되는 것은 아니다.

 

다음 사전의 설명을 참고로, 다의어와 동음이의어를 구별해 보도록 하자.

손1 : 명사

① 사람의 팔목 끝에 달린 부분. 손등, 손바닥, 손목으로 나뉘며 그 끝에 다섯 개의 손가락이 있어, 무엇을 만지거나 잡거나 한다.

예) 손으로 잡다/손으로 가리키다/손을 뻗다/손을 내젓다

② =손가락.

예) 손에 반지를 끼다.

③ =일손

예) 손이 부족하다/손이 달리다/손이 많다

④ 어떤 일을 하는 데 드는 사람의 힘이나 노력, 기술.

예) 할머니의 손에서 자랐다./그 일은 손이 많이 간다./마을 사람의 손을 빌리지 않고는 가을걷이를 할 수가 없다.

⑤ 어떤 사람의 영향력이나 권한이 미치는 범위.

예) 손에 넣다/일의 성패는 네 손에 달려 있다.

⑥ 사람의 수완이나 꾀.

예) 장사꾼의 손에 놀아나다

 

손2 : 명사

① 다른 곳에서 찾아온 사람.

예) 손을 맞다/우리 집에는 늘 자고 가는 손이 많다.

② 여관이나 음식점 따위의 영업하는 장소에 찾아온 사람.

  예) 그 가게는 손이 많다.

 

 

위에서 손1과 손2는 동음이의 관계에 해당한다. 그리고 손1과 손2의 하위 항목들은 다의 관계에 해당한다. 그런데 각 하위 항목 간의 위상에 차이가 있다. 예를 들면 손1의 ①이 기본 의미라 할 수 있고, 그 외의 것들은 그 기본 의미로부터 확장된 것으로 볼 수 있는 것이다. 이 경우 ①을 중심적 의미라 하고, ②-⑥은 주변적 의미라 한다.

 

 

 

(6)동음 이의 관계

동음 이의 관계는 한 언어에서 발음은 동일하나 의미가 다른 두 개 이상의 단어들이 맺는 관계를 말한다. 이들 단어를 동음어(同音語) 또는 동음이의어(同音異議語)라 한다. 동음어의 생성은 언어 기호의 자의성과 불가분의 관계를 맺고 있다. 즉 하나의 형태(=말소리)에 전혀 무관한 둘 이상의 의미가 얹힐 수 있는 것은, 언어 기호에서 형태와 의미 사이에 필연성이 결여되어 있기 때문이다.

 

‘절[인사], 절[사찰]’과 같은 완전 동음이의어든 ‘눈[눈], 눈[눈:]’과 같은 유사 동음이의어든, 동음이의어의 존재는 언어를 통한 의사소통에 장애를 초래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동음이의어가 생성되는 것은 다음과 같은 이유 때문이다.

 

① 통시적인 음운 변화에 의해 동음어가 만들어지는 경우

예) ‘ㆍ’의 소실 : >살[肉]-살[矢] / 단모음화 : 쇼>소[牛]-소[沼]

 

② 공시적인 음운 변동에 의해 동음어가 만들어지는 경우

예) ‘/입/ : 입-잎’, ‘/짇다/: 짓다:짖다’

 

③ 의미의 분화로 동음이의어가 만들어지는 경우

예) 해[太陽]-해[年], 달[moon]-달[month], 고개[head]-고개[hill]

 

④ 외래어의 유입으로 동음어가 만들어지는 경우

예) 해[太陽]-해(海), 말미[休暇]-말미(末尾), 사랑[愛]-사랑(舍廊)

 

 

 

'국어문법강의'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문장의미론 : 문장의 의미 관계  (0) 2011.05.26
의미 변화의 유형과 양상  (0) 2011.05.26
의미의 여러 유형  (0) 2011.05.25
언어의 의미에 대한 다양한 학설들  (0) 2011.05.25
부정 표현의 이해  (0) 2011.05.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