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법과표준어

(제5편) 정말 궁금한 우리말 어법(문답식 정리)

국어의 시작과 끝 2011. 4. 22. 03:01

 

문(41) '알은체하다'와 '아는 체하다'의 차이가 뭐죠?

 

답 : "친구가 아는 체하며 말을 걸어 왔다"는 "친구가 알은체하며 말을 걸어 왔다."로 고쳐 써야 합니다. '알은체하다'와 '아는 체하다'는 서로 의미가 다른 말입니다. '아는 체하다'는 "알지 못하면서 알고 있는 듯한 태도를 취한다"는 뜻으로 "모르면서 아는 체하다가 망신만 당했다."와 같이 쓰이는 말입니다. 흔히 "친구가 아는 체하며 말을 걸어 왔다."처럼 쓰는 것은 잘못입니다. 이때는 '알은체하다'를 써야 합니다. 한편 '알은체하다'와 '알은척하다'는 동의어이므로 "멀리서 친구 하나가 내 이름을 부르며 알은척했다"와 같이 쓸 수도 있습니다. '알은체하다/알은척하다'는 '알다'의 어간 '알-'에 관형형 어미 '-은'이 결합한 말이지만 '안'이 되지 않는 것은 '알은체하다/알은척하다'로 굳어졌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알은∨척하다'처럼 띄어 쓸 수는 없는 한 단어입니다.

 

(1) ㄱ. 얼굴이 익은 사람 하나가 알은체하며 말을 걸어왔다.

ㄴ. 친구가 알은척하며 네 이름을 불렀다.

(2) ㄱ. 모르면 아는 척하지 말고 가만히 있어.

ㄴ. *낯선 사람 하나가 아는 척하며 내게 말을 걸어 왔다.

 

 

 

 

 

문(42) '학여울'은 [항녀울]입니까, [하겨울]입니까?

 

답 : '학여울'의 표준 발음은 [항녀울]입니다. '학여울'이 [하겨울]이 아니라 [항녀울]로 소리 나는 것은 이 단어가 '학'과 '여울'이라는 단어가 결합한 합성어라는 것과 관련이 있습니다. 표준 발음 제29항에 "합성어 및 파생어에서, 앞 단어나 접두사의 끝이 자음이고 뒤 단어나 접미사의 첫 음절이 '이, 야, 여, 요, 유'인 경우에는 'ㄴ' 소리를 첨가하여 [니, 냐, 녀, 뇨, 뉴]로 발음한다."라고 하면서, '막-일[망닐], 식용-유[시굥뉴], 색-연필[생년필], 솜-이불[솜:니불]' 등의 예를 제시하고 있습니다. 이 규정을 보면 '막일, 색연필'처럼 받침이 'ㄱ'인 말과 '이, 여'로 시작하는 말이 만나면 받침 [ㄱ]은 [ㅇ]으로 바뀌고 뒤 음절의 [이], [여]는 [니], [녀]로 바뀌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것은 합성어일 때만 일어나는 현상이고, '식용유'의 '식용'처럼 한 단어일 때는 받침의 'ㄱ'이 다음 음절로 연음되어 [시굥]으로 됩니다. '학여울'도 '막일, 색연필'과 같은 환경으로 [하겨울]이 아닌 [항녀울]로 발음해야 하는 경우입니다.

 

 

 

 

문(43) '불리다'와 '불리우다' 중 맞는 것은?

 

답 : '불리우다'는 '불리다'의 잘못입니다.

'많은 사람들에게 불리는 노래'에서 '불리는'은 자주 '불리우는'으로 쓰기도 하는데 이는 잘못입니다. '불리다'는 '부르다'의 피동사로 여기에 다시 접미사 '-우-'를 넣을 필요가 없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그 아이는 선생님께 불리워 갔다, 시상식에서 내 이름이 불리웠을 때 나는 깜짝 놀랐다.'는 '그 아이는 선생님께 불리어(불려) 갔다, 시상식에서 내 이름이 불렸을 때 나는 깜짝 놀랐다.'로 바꿔 써야 합니다.

 

 

 

 

문(44) '못하다'의 띄어쓰기는 어떻게 해야 하나요?

 

답 : '못'은 '동사가 나타내는 동작을 할 수 없다거나 상태가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부정의 뜻을 나타내는 부사'입니다. '술을 못 마시다, 잠을 통 못 자다'처럼 일반적으로 서술어 앞에서 서술어를 꾸며 주며 띄어 씁니다. 그런데 '하다'가 서술어로 올 경우는 '못'과 '하다'가 하나의 합성어로 굳어져 뜻이 변한 경우는 붙여 쓰고, 그렇지 않은 경우는 다른 서술어처럼 띄어 써야 합니다. 합성어로 붙여 써야 할 경우는 '술을 못하다, 노래를 못하다, 음식 맛이 예전보다 못하다'처럼 '일정한 수준에 못 미치거나 할 능력이 없다'라는 뜻을 지닐 때와 '잡은 고기가 못해도 열 마리는 되겠지'처럼 '아무리 적게 잡아도'라는 특별한 뜻을 지닐 때입니다.

'어제 병이 나서 일을 못 했다.'처럼 단순히 동작을 할 수 없다는 부사의 뜻이 살아 있는 경우는 띄어 써야 하는 것입니다.

'못하다'를 붙여 쓰는 또다른 경우는 용언의 어간 뒤에서 '-지 못하다' 구성으로 쓰이는 보조 용언일 때입니다. '말을 잇지 못하다, 바빠서 동창회에 가지 못했다, 편안하지 못하다, 아름답지 못하다'의 '못하다'는 모두 붙여 써야 합니다.

 

 

 

 

문(45) '이래 봬도'와 '이레 뵈도' 중 맞는 것은?

 

답 : '이래 봬도'가 맞습니다.

'이래 봬도'의 '이래'는 '이렇다'의 어간 '이렇-'에 어미 '-어'가 붙어 '이레'로 표기해야 맞는 것이 아닌가 잘못 생각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래, 저래, 그래'는 기존의 사전에서 '이레, 그레, 저레'가 아닌, '이래, 그래, 저래'로 등재하고 있습니다. 이것은 '이래, 그래, 저래'의 표기가 역사적으로 굳어진 것을 반영한 결과입니다.

한편, '이래 봬도'의 '봬도'를 '뵈도'로 잘못 쓰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러나 '봬도'는 '보다'의 피동사 '보이다'가 준 '뵈다'에 가정이나 양보의 뜻을 나타내는 어미 '-어도'가 결합한 말이므로, '뵈도'가 아닌 '봬도'를 써야 합니다.

 

뵈(보이)어도 → 봬도

 

그러므로 '이래 봬도'가 맞고 '이레 뵈도, 이래 뵈도, 이레 봬도'로 쓰는 것은 잘못입니다.

 

 

 

 

문(46) '망년회'가 맞나요, '송년회'가 맞나요?

 

'망년회(忘年會)'는 일본어투의 말이기 때문에 국립국어연구원에서 '송년 모임, 송년회'로 순화했습니다. '망년회'라는 말 대신 '송년회, 송년 모임'으로 쓰시기 바랍니다.

 

 

 

 

문(47) '돈을 치렀다'와 '돈을 치뤘다' 중 맞는 것은?

 

답 : '치렀다'가 맞습니다. 주어야 할 돈을 내주거나(잔금을 치르다), 어떤 일을 겪어 낸다(큰일을 치르다)는 말은 '치르다'가 기본형입니다. '치르다'는 어간 '치르-'에 어미 '-어, -었-'이 붙게 되면, 어간의 '으'가 탈락하고 '치러, 치렀-'으로 활용합니다. '쓰다'에 '-어, -었-'이 붙으면 '써, 썼-'으로 활용하는 것과 같습니다.

그런데 자주 '치르다'를 '치루다'가 기본형인 것으로 잘못 알고, 그 활용형을 '치뤄, 치뤘-'로 쓰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잘못입니다. '치르다'는 '시험을 치러 내다, 큰일을 치렀으니 몸살이 날 만도 하다.'처럼 '치러, 처렀-'으로 활용해서 써야 할 말입니다.

 

 

 

 

문(48) '트림'이 맞나요, '트름'이 맞나요?

 

답: '트림'이 표준어입니다.

자주 '트림'을 '트름'으로 잘못 사용하는 경우가 있는데, '트림'은 예부터 '트림'으로 써 오던 말입니다.

 

트림 애(훈몽자회 상, 29), 트림?다(동문유해 상, 19)

 

또한 대다수의 사람들이 '트름'보다는 '트림'을 쓰고 있고, 기존의 모든 사전에서 '트림'을 맞는 말로, '트름'은 '트림'의 잘못으로 등재하고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트림'을 '트름'으로 읽고 적어서는 안 됩니다. 물론 표준어 중에는 유사한 형태가 복수 표준어로 인정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그러나 이것은 어감에 차이가 있거나 기원을 달리 하는 말이 둘 다 널리 쓰일 때 등의 이유가 있을 때 가능합니다. '트림'과 '트름'의 경우는 표준어 규정 제17항 "비슷한 발음의 몇 형태가 쓰일 경우, 그 의미에 아무런 차이가 없고 그 중 하나가 더 널리 쓰이면, 그 한 형태만을 표준어로 삼는다."라는 규정이 적용되어야 할 것입니다. 그러므로 '트름'은 '트림'의 잘못으로 써서는 안 되는 말입니다.

 

 

 

 

문(49) '반대로'와 '거꾸로'의 차이점은?

 

답 : '거꾸로'는 '차례나 방향, 또는 형편 따위가 반대로 되게'라는 뜻이고, '반대로'는 '(1) 두 사물이 모양, 위치, 방향, 순서 따위에서 등지거나 서로 맞섬으로'와 '(2) 어떤 행동이나 견해, 제안 따위에 따르지 않고 맞섬으로'의 뜻을 가진 말입니다.

 

거꾸로: 옷을 거꾸로(반대로) 입다, 일의 순서가 거꾸로(반대로) 되다, 토마토는 거꾸로(반대로) 발음해도 토마토이다.

반대로: (1) 반대로(거꾸로) 놓다, 반대로(거꾸로) 돌리다, 그는 집 방향의 반대로(거꾸로) 가고 있다.

(2) 부모님의 반대로(*거꾸로) 결혼을 하지 못했다. 많은 사람들의 반대로(*거꾸로) 건의안이 통과되지 않았다.

 

'반대로'의 첫째 뜻은 '거꾸로'와 의미상 거의 동일하며 용례에서 서로 바꿔 쓸 수 있지만, '반대로'의 둘째 뜻은 의미도 다르고 용례에서도 '거꾸로'와 바꿔 쓸 수 없습니다. 즉 '거꾸로'는 '반대로' (1)의 의미와 같고, '반대로' (2)의 의미와는 다르다고 할 수 있습니다.

 

 

 

 

문(50) '크리스마스 캐롤'인가요, '캐럴'인가요?

 

답: '캐럴'이 맞습니다. 대부분 사람들이 'carol'의 'o' 때문에 '캐롤'로 말하거나 적는 경향이 있습니다. 그러나 원어의 발음을 외래어 표기법에 따라 적으면 '캐럴'이 됩니다. 그러므로 'carol'은 '캐롤'이 아닌 '캐럴'로 적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