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문학

샤갈의 마을에 내리는 눈

국어의 시작과 끝 2011. 3. 22. 18:54

 

샤갈의 마을에 내리는 눈

김춘수(金春洙)

 

샤갈의 마을에는 3월(三月)에 눈이 온다.

봄을 바라고 섰는 사나이의 관자놀이①

새로 돋은 정맥(靜脈)이

바르르 떤다.

바르르 떠는 사나이의 관자놀이에

새로 돋은 정맥(靜脈)을 어루만지며

눈은 수천 수만의 날개를 달고

하늘에서 내려와 샤갈의 마을의

지붕과 굴뚝을 덮는다.

3월(三月)에 눈이 오면

샤갈의 마을의 쥐똥만한② 겨울 열매들

다시 올리브빛③으로 물이 들고

밤에 아낙들은

그 해의 제일 아름다운 불

아궁이에 지핀다.

 

 

 

12779

 

● VOC

① 귀와 눈 사이에 있는 태양혈(太陽穴)이 있는 곳. 두개골(頭蓋骨)의 옆머리 부분. 머리에 쓰는 관자(망건:網巾)가 이 부분의 맥이 뛸 때 움직인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한의학에서는 사람의 몸에 침을 놓는 자리의 하나로 쳐서 태양혈(太陽穴)이라고 부른다. 샤갈의 <나와 마을>에서도 관자놀이는 인상적으로 강조되고 있다.

② 조그마한 크기의 물체를 일컬을 때 쓰는 말. 흔히 부정적인 의미로 쓰이지만, 여기서는 그렇지 않다.

③ 올리브는 늦은 봄에 누런 흰색의 향기로운 꽃이 피고, 익을 때에는 때 검은 자줏빛을 띤다.

 

 

 

 

● 작품개관

갈래 : 자유시. 서정시, 초현실주의시

성격 : 감각적. 회화적. 환상적

어조 : 차분하게 객관적으로 서술하는 어조

특징 ① 연을 나누지 않은 전연시(全聯詩)의 형태를 취하고 있다.

② 현재형의 시제를 사용하여 생동감 있는 이미지를 표현하고 있다.

③ 각 문장들은 산문적 의미 전달이 단절된 채, 서술적 이미지만 연결되고 있다.(->무의미시론)

구성 :

1행 샤갈의 그림 속의 눈 내리는 마을

2-4행 사나이의 관자놀이에서 확인하는 생명감

5-9행 샤갈의 마을을 덮는 눈의 모습

10-12행 눈 속에 소생하는 생명

13-끝 맑고 순수한 생명의 이미지

제재 : 눈

주제 : 맑고 순수한 생명감

출전 : <김춘수 시선집>

 

 

● 작품해설 - 시인, 샤갈의 그림에서 고향을 만나다

 

비교적 난해한 작품이다. 그 난해함은 이 작품이 일반적인 시적 정황을 제시하지 않고, 시인의 의식 속에 떠오르는 이미지들을 그대로 드러내 보여주고 있음에서 온다. 시인의 의식 속에서는 하나의 의미망으로 묶여질 성질의 이미지들일 것이다. 그러나 독자로서는 그 나열된 이미지들을 쉽게 연결시켜 의미를 이해하기가 쉽지 않다. 시인은 이러한 시적 경향을 두고 ‘무의미시’라고 했거니와, 이런 종류의 시는 시인의 주관적 정서를 직접적으로 드러내 보여주지 않는 것이 특징이다. 또 시에 등장하는 이미지들은 그 자체로 존재하는 객관적인 것이지, 어떤 관념을 대신하여 드러내거나, 현실을 재현하는 수단으로서의 이미지가 아니다.(→서술적 이미지)

 

이 작품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두 가지 전제가 필요하다. 먼저 이 작품의 창작 모티프가 되고 있는 샤갈의 그림 <나와 마을> 에 대한 이해이다. 시인은 샤갈의 그림에서 받은 인상과 자신의 정서가 유사하다는 점에 착안하여 이 작품을 썼기 때문이다. 다음으로는 그 정서가 어떤 것인지를 알기 위해 <나와 마을>과 <샤갈의 마을에 내리는 눈>이 공유하고 있는 초현실주의적 창작 기법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기실 이 작품이 이해하기 어려운 것은, 전통적인 서정시에 익숙한 독자로서는 이 두 관문을 통과하는 일이 그리 쉽지 않기 때문이다.

 

먼저 <나와 마을>은 자신의 고향에 대한 그리움을 주제로 하는 그림이다. 화가로서의 일생 대부분을 프랑스에서 보낸 샤갈의 고향은 러시아의 ‘비테프스크’이다. 비테프스크는 판잣집과 가난한 거리 풍경의 유태인 빈민촌이었을 뿐이지만, 힘겹게 타향살이를 해야 하는 이에게는 누구에게나 그렇듯, 샤갈에게 있어 ‘차마 꿈엔들 잊힐’수 없는 공간이었을 것이다. 유대인으로서 경제적으로나 사회적으로 온갖 역경 속에서 예술가의 길을 가야만 했던 샤갈에게 고향은 늘 마음의 안식처였을 것이다. 저간의 사정은 샤갈이 뉴욕의 한 신문에 실린 ‘내 고향 비테브스크’라는 편지에 애절하게 표현되어 있다.

 

“내 사랑하는 마을 비테브스크. 너를 마지막 보고, 울타리 쳐진 너의 거리에서 나를 발견한 후 오랜 세월이 흘렀구나. 너를 사랑하면서 왜 여러 해 동안 너를 떠나 있었는지……? 그럼에도 너는 내게 묻지 않았다. 그냥 이렇게만 말해주었지. '그는 우리들의 지붕 위에 눈이나 별로 샤워시켜 줄 찬란한 색깔을 찾아 그 어딘가로 갔을 거'라고.(중략) 나는 이제 너와 살지 않지만 너의 즐거움과 슬픔이 반영되지 않은 내 그림은 단 하나도 없어.”

 

 

이 편지에서 엿볼 수 있는 고독과 향수를 고스란히 담고 있는 것이 <나와 마을>(1911)이다. 그러나 그 풍경은 정지용의 시 <향수>가 펼쳐 보여주는 것과 많이 다르다. <향수>는 고향의 풍경을 각 연에서 질서 정연하게 보여준다. 그러나 <나와 마을>의 풍경은 머리 속에 떠오르는 대로 이미지를 포개서 보여준다. 암소가 있고, 그 암소를 닮았고, 암소와 눈으로 대화를 나누는 듯한 사내의 얼굴(실제로는 화가의 초상)이 있고, 뾰족한 종탑의 성당이 있는가 하면, 쇠스랑을 메고 가는 농부가 있고, 눈을 맞는 나무가 있다. 그것은 현실적인 풍경(현실)과는 다르지만, 환상적인 상상(초현실)이라는 측면에서 보면 진짜 현실이라고 할 수도 있다. 우리 마음속의 고향 풍경은 원래 그렇게 뒤죽박죽이 아니던가? 샤갈은 말 그대로 초현실주의적 기법을 사용하고 있는 것이다.

 

이 시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샤갈의 마을에 눈이 내리듯 시인의 회상 속에서도 그의 고향은 늘 눈이 내린다. 3월의 눈이니 차갑지만은 않다. 오히려 그 눈은 새롭게 생동하는 생명의 청신함을 더하는 소재로 기능하고 있다. <나와 마을>이 그러하듯 시인의 상상력은 사내의 관자놀이로 옮아간다. 그리고 바르르 떠는 관자놀이의 신선한 정맥(靜脈)을 연상한다. 시인에게 있어 봄이 갖는 고향의 사물들이 갖는 생동감과 따뜻함은 관자놀이에 돋는 새로운 정맥과 같은 것이었을 것이다. 일상적인 논리로 보면 이해하기 어렵지만, 적어도 시인에게 있어 봄의 생명이 갖는 따뜻함은 그렇게 연상된다. 이 점에서 3월의 눈은 결코 차갑지 않다. 그것은 수많은 날개를 달고 내려오는, 그래서 봄의 생명 탄생을 재촉하는 전령사와 같은 것이다. 그래서 3월 눈, 지붕과 굴뚝에 날개가 달린 것처럼 사뿐히 내려앉는 눈은 고향의 안온함을 극대화시킨다. 적어도 시인에게 고향의 3월은 그렇게 환상적이다.

 

이 대목에서 시인의 고향이 따뜻한 남쪽 지방인 경남 통영이었음을 상기할 필요가 있다. 동양의 나폴리로 불리는 시인의 고향 통영에 내리는 눈은 저 만주 벌판의 차가운 눈발과는 거리가 먼 포근한 눈이었던 것이다. 물론 이 시에 등장하는 고향은 실제 고향과 연관되어 있다고 해도, 직접적으로 그것을 가리키기보다는, 마음속의 환상으로서의 고향에 가깝다.

 

 

 

 

3월에 눈이 내리면 샤갈의 마을에 있는 겨울 열매들이 올리브빛으로 물이 든다고 했다. <나와 마을> 하단부의 눈 맞는 나무에 주목하라. 눈을 맞고 있는 나무치고는 전혀 앙상한 느낌이 없다. 오히려 윤기가 나고, 꽃이 핀 듯 풍성하며, 이제 노란빛이 도는 녹색의 올리브 열매가 익어 가는 것을 연상시키기에 족하다. 그러나 시인은 샤갈의 그림을 노래하고 있는 것이 아니다. 자신의 고향에 대한 환상을 노래하고 있는 것이다. 3월의 눈 속에서 겨울을 이겨내고 따뜻함으로 속을 가득 채우며 익어 가는 생명을 노래하고 있는 것이다. 특별한 경우가 아니라면 시적 상상에 있어 ‘익어 가는’ 열매의 속이 따뜻하다는 것은 너무나 자연스럽다. 마치 그리고 그것은 아낙네들이 아궁이에 지피는 깨끗한 불을 연상시킨다. 샤갈의 <나와 마을>에서도 마을 집들의 지붕 위로 연기가 피어오르고 있음을 확인해 두자.

 

시인은 결국 자신의 마음속에 소중하게 간직하고 있는 환상적인 고향의 풍경을 초현실주의적 기법으로 노래하고 있는 것이다. 눈이 내리는 마을이 있고, 아궁이에서는 불을 지피고, 연기가 피어오르고, 나무에서는 열매가 익어가고, 그 풍경과 포개지면서 사내의 관자놀이에는 핏줄이 보인다. 이를 통해 시인은 고향에 대한 그리움과 가장 순수한 초봄의 사물이 갖는 순수한 생명감을 노래하고 싶었을 것이다.

 

 

 

 

● 보충학습 - 비유적 이미지와 서술적 이미지

김춘수가 표방한 무의미시를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도구적 존재로서의 이미지(비유적 이미지)와 객관적 존재로서의 이미지(서술적 이미지)가 갖는 차이를 이해해야 한다. 전자는 현실을 재현하는 도구로서의 이미지 또는 사물 그 자체보다는 그 사물에 부여된 추상적인 관념을 재현하는 도구로서의 이미지를 말한다. 이 때 통상 시적 비유를 사용하게 되는데, 이 경우 시에 등장하는 이미지들은 그 자체로 존재의 의의를 갖지 못한다. 시인이 표현하고자 하는 현실이나, 시인이 말하고자 하는 관념을 드러내 주는 수단으로서의 의미만을 갖게 된다. 이 점에서 이들 이미지는 순수하지 못하다. 이런 경우를 시인은 ‘의미시’라는 범주로 분류한다. 반면, 무의미시를 구성하는 이미지들은 도구적 존재가 아니다. 사물 혹은 사물에 인간이 부여한 의미를 구현하는 수단으로서가 아니라, 그 자체로 순수하게 존재의 의의가 부여된다.

 

눈보다 먼저/겨울에 비가 오고 있었다

바다는 가라앉고/바다가 있던 자리에

군함이 한 척 닻을 내리고 있었다 ( <처용단장4> 부분)>

 

‘바다’는 현실을 재현하는 이미지가 아니다.(가라앉아 꺼져 버리는 바다가 현실적으로 존재하는가?) 물론 시인의 감정을 비유적으로 드러내주는 수단도 아니다.(감정 표현은 드러나 있지 않다) 또한 어떤 추상적 관념을 유추하는 이미지도 아니다.(유추될만한 관념이 무엇인가?) 따라서 독자로서는 이 ‘바다’의 이미지를 쉽게 이해할 수 없다. 무의미시는 그래서 난해하다. 도무지 낯설다. 그러나 ‘낯설다’는 판단 자체가 이미지에 대한 선입견 때문이 아닐까? 시인은 ‘바다’의 의미를 묻는 독자에게 답을 줄 생각이 없다. 오히려 독자가 바다에 대한 선입견으로부터 깔끔하게 탈주해 버리기를 꿈꾼다. 시인이 보여주고자 하는 것은 바다의 이미지 그 자체이다. 이미지에 덕지덕지 붙어 있는 온갖 불순한(?) 의미들을 모두 괄호 속에 묶어 넣어버리고, 순수하게 이미지 그 자체만을 보여주고 싶은 것이다.

 

 

● 확장학습

- 샤갈의 <나와 마을>은 초현실주의와 어떤 관계가 있나요?

 

1910년 한 후원자가 샤갈이 파리로 이주하도록 도와주었다. 그는 그 곳에서 파리의 전위 예술가들, 특히 시인 블레즈 상드라르, 기욤 아폴리네르와 화가 카임 수틴, 페르낭 레제, 로베르 들로네 등과 친분을 맺었다. 이와 같은 새로운 환경의 영향은 곧 그의 작품에 나타났다. 1911년 작품 <나와 마을>, <시인> 등에서 벌써 이전의 순진한 사실주의와는 다른 구성적 특징, 야수주의의 색 사용 방식, 그리고 입체주의나 오르피즘에서의 혁신적인 공간 처리 방식에 동화된 병화(病火)가 보인다. 그러나 샤갈은 형식과 색채에 대한 전위적인 실험에도 불구하고, 그의 개인적인 도상학적(圖像學的) 세계를 벗어나는 경우는 매우 드물었다. 이러한 세계는 벨로러시아의 풍경, 농민들의 생활 정경, 유태인의 의식들과 같은 그의 어린 시절에 대한 추억들로 가득 찼다. 그것은 또한 그가 사랑하는 인물들, 특히 1915년에 그와 결혼한 비테브스크 출신의 젊은 여인 벨라 로젠펠드에 대한 언급으로 가득했다.

<나와 마을>도 그의 마음속에 깊이 꿈 비틀거리고 있는 추상의 이미지를 원과 삼각, 사각형의 기하학적 구성을 통해서 평면화시키고 있다. 그러나 이 작품이 우리 마음을 사로잡는 점은 그러한 화면 분할의 수법 이외에도, 나와 마을의 거리를 친밀화시켜 보여주는 심정에 의한 또 다른 질서의 힘이다. 그 힘은 소와 나를 같은 원 속에 접근시켜 과거와 현재의 나를 일체화시키고 있다. 또한 나의 얼굴빛을 푸른색으로 한 것은 후에 <일곱 손가락의 자화상>과 같이 물리적 중심과 다른 중심을 가진 별세계에 상응하게 하기 위한 필연의 변용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참고] 졸고입니다. 그러나 이미 현대시 해설서인 [현대시 참신한 아이템1,2](도서출판 디딤돌)에 수록된 글의 초고입니다. 저작권이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유의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