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제별로 정리하는 필수 한자성어 고사성어 총정리 <효(孝) > 1. 事親以孝(사친이효) : 어버이를 섬김에 효도로써 함. 세속오계의 하나 2. 父子有親(부자유친) : 아버지와 아들의 道는 친애에 있음. 五倫의 하나 3. 父爲子綱(부위자강) : 아버지와 자식 사이에 지킬 떳떳한 도리. 삼강의 하나. 4. 昏定晨省(혼정신성) : 조석으로 부모의 안부를 물어 살핌 5... 한자와 한문 2011.04.27
우리말 한자어에 대한 이해 한자어는 중국의 한자를 기반으로 하여 만들어진 단어들이다. 이 중에는 중국에서 들어온 말, 일본에서 만들어져 우리나라로 유입된 말, 우리 스스로 만들어 낸 말 등이 있다. 한자어를 두고 우리말이 아니라고 하는 사람도 있지만, 이를 우리말이 아니라고 생각하기는 어렵다. 한자어를 한자로 적으.. 한자와 한문 2011.04.11
반드시 익혀야 할 필수 한자어 200개 [제2편] 다음 한자어의 독음을 쓰시오. 여기 정리한 것은 성인이라면 반드시 알아야 할 한자어 추가 200개입니다. 쓸 줄은 몰라도, 반드시 정확하게 읽을 줄은 알아야 합니다. 그리고 그 의미도 정확하게 알아야 합니다. 적어도 이 정도는 알아야 국한문 혼용의 신문을 읽을 수 있습니다. 이 정도는 교양인의 기.. 한자와 한문 2011.04.07
반드시 익혀야 할 필수 한자어 200개 [제1편] 여기 정리한 것은 성인이라면 반드시 알아야 할 한자어 200개입니다. 쓸 줄은 몰라도, 반드시 정확하게 읽을 줄은 알아야 합니다. 그리고 그 의미도 정확하게 알아야 합니다. 적어도 이 정도는 알아야 국한문 혼용의 신문을 읽을 수 있습니다. 이 정도는 교양인의 기본입니다. 각종 시험에 자주 출제되.. 한자와 한문 2011.04.07
이런 한자어는 독음이 어려워! - 제 2 편- 이런 한자어는 독음이 어려워! - 제 2 편- - 아래 한자어들은 비교적 자주 사용되는 것들입니다. 꼼꼼하게 자전을 참고하여 공부해 보면, 왜 이런 한자들이 선정되었는지 알게 될 것입니다. 당연히 각종 시험에서 자주 출제되는 것들입니다. - [1] 다음 한자어의 올바른 독음(讀音)은? ① 走馬看山 / 看過 /.. 한자와 한문 2011.04.07
이런 한자어는 독음이 어려워! -제 1 편- 이런 한자어는 독음이 어려워! [1] 다음 한자어의 올바른 독음(讀音)은? ① 降伏 / 降水量 / 昇降機 / 降雪 ② 索引 / 索莫 / 索出 ③ 更生 / 更新 / 甲午更張 ④ 惡質 / 憎惡 / 惡事千里 ⑤ 數量 / 頻數 / 數罟 ⑥ 塞翁之馬 / 閉塞 ⑦ 難易度 / 周易 / 平易 / 易姓 ⑧ 說得 / 遊說 / 學而時習之不亦說乎 ⑨ 音樂 .. 한자와 한문 2011.04.06
반드시 알아두어야 할 한자성어 100선(20문항) 잘 알아두어야 할 한자성어 20문항 - 다음 답지에 등장하는 한자성어는 중고생용 한자성어가 일부 포함되어 있으나, 대부분은 대학생 수준입니다. 모르는 한자성어가 있으면 반드시 사전을 참고하여 정확히 그 뜻을 알아 둡시다. [1] 부모님의 은혜와 관계가 깊은 한자성어는? ① 걸해골(乞骸骨) ② 고.. 한자와 한문 2011.04.04
한문으로 번역한 속담 來語不美 去語何美 去言美 來言美 ▶ 가는 말이 고아야 오는 말이 곱다. 犬牛白活 有誰存察 ▶ 개소 발괄 누가 알아주나. 晝語雀聽 夜語鼠聽 晝言雀聽 夜言鼠聆 ▶ 낮 말은 새가 듣고 밤 말은 쥐가 듣는0다. 言他事食冷粥 言人言冷粥飡 ▶ 남의 말 하기는 식은 죽 먹기. 言甘家醬不甘 ▶ 말 많은 집은 .. 한자와 한문 2011.03.17
유쾌 상쾌 통쾌-한자어의 이해 소명이라는 트로트 가수가 부른 노래 제목이죠. 그런데 이를 모두 한자로 적을 수 있는 국민이 얼마나 될까요? 한 번 써 보시죠. 다음과 같습니다. 유쾌(愉快) 상쾌(爽快) 통쾌(痛快) 그런데 궁금한 것은 이 셋의 차이입니다. 우선 ‘쾌’는 다음 해설이 도움이 됩니다. “음(音)을 나타내는 夬(결ㆍ쾌)와.. 한자와 한문 2011.01.15
‘희수(稀壽)’와 ‘희수(喜壽)’ ‘희수(稀壽)’와 ‘희수(喜壽)’ 나이 70를 나타내는 말로 ‘고희(古稀)’와 ‘종심(從心)’은 잘 아실 줄 압니다. 그런데 공무원 고시는 4지 선택형인지라, 70세를 의미하는 단어가 하나 더 있어야 문제를 내기가 쉽니다. 다행인지 불행인지 하나 더 있습니다. ‘희수(稀壽)’입니다. 그런데 ‘희수(稀.. 한자와 한문 2011.01.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