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가수다

사랑한단 말은 못해도 안녕이란 말은 해야지

국어의 시작과 끝 2011. 3. 22. 00:40

박선주의 <귀로>

 

 -리메이크, 나얼 <귀로> 

 

 화려한 불빛으로 그 뒷모습만 보이며/ 안녕이란 말도 없이 사라진 그대/ 쉽게 흘려진 눈물 눈가에 가득히 고여 /거리는 온통 투명한 유리알 속/그대 따뜻한 손이라도 잡아볼 수만 있었다면/아직은 그대의 온기 남아 있겠지만 /비바람이 부는 길가에 홀로 애태우는 이 자리/두 뺨에 비바람만 차게 부는데 /사랑한단 말은 못해도 안녕이란 말은 해야지 오/아무 말도 없이 떠나간 그대가 정말 미워요

 

 

12778


 

1989년 강변가요제 수상곡으로, 라이브 카페 등에서 상당히 많이 불리는 노래이다. 이 노래는 부른 박선주는 김범수, SG워너비의 채동하. 동방신기의 시아준수, 손호영 등의 보컬 트레이닝을 맡아 인기 가수를 배출한 음악 지도자로도 알려져 있다. 또 이 노래는 나얼이 리메이크하여 불렀고, 그로 인해  젊은 세대에게도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 박선주나 나얼이나 모두 상당히 매력적인 가창력의 소유자이고, 노랫말의 아름다움을 잘 살려 불렀지만, 사실 이 노래의 힘은 아포리즘에서 오는 것이 아닌가 싶다.

 

아포리즘(aphorism)이란 무엇인가? 그것은 흔히 금언 ·격언 ·경구 ·잠언 따위를 가리키는데, 깊은 체험적 진리를 간결하고 압축된 형식으로 나타낸 짧은 글로 정의 내릴 수 있는 것. 이 정의에서 우리는 두 개 핵심 키워드를 끄집어낼 수 있다. ‘체험적 진리’와 ‘압축된 형식’이 그것이다.

 

우선 ‘체험’과 ‘경험’은 비슷한 개념이지만, 속내를 살피면 썩 다르다는 것을 지적해야겠다. ‘경험(經驗)’이 대상(對象)과 얼마간의 거리를 염두에 둔 것이라면, ‘체험(體驗)’은 대상과의 직접적이고 전체적인 접촉을 염두에 둔 것이 아닌가?  즉 체험적인 진리란 그 속성상 지극히 주관적인 진리일수밖에 없는 것. 예컨대, 파스칼의 ‘인간은 생각하는 갈대이다’라는 말에 공감하는 사람이 많지만, 그것이 매우 주관적인 진리라는 것 또한 부인할 수 없는 일이다.

 

다음으로 ‘압축적 형식’이란 무엇일까? 상식적인 이야기이지만, 그것이 단순히 짧다는 것을 말하는 것일 수 없다. 시의 언어가 흔히 그런 것처럼 함축적이라는 뜻일 것이다. 언어 표면으로 전달되는 것보다, 그 여운으로 전하는 바가 훨씬 많다는 뜻이 아니겠는가? 그렇다면, 아포리즘에 전하는 메시지는 ‘시적인 표현 형식’을 갖춰야 한다는 말로 이해할 수 있겠다. 나아가 그것이 전하는 진리 역시 시적 진실에 가깝다. 인간은 갈대라는 말이 그러한 것처럼. 

 

 

 

 

 

‘사랑한단 말은 못해도 안녕이라는 말은 해야지’가 바로 그렇지 않을까? 군더더기 없이 매우 간결하여 아포리즘의 두 번째 요건인 ‘압축된 형식’을 잘 갖추고 있다. 또 이 아포리즘이 전하는 시적 진실에 공감하는 사람이 적지 않을 성 싶다. 왜 그럴까? 우선 이 노래의 제목은 <귀로(歸路)>이며, 당연히 사랑하는 사람과 이별하고 되돌아서서 걸을 때의 속마음을 노래한 것이다. 그리고 속으로 되뇌지 않았겠는가? 비록 이런 저런 사정으로 이별할 수밖에 없다고 하더라도, 사랑했었다고 말하지 못하더라도, 최소한 안녕이라는 말은 해야 하지 않느냐고 말이다. 아니 더 정확히 말하면, 이별하는 마당이라고 하더라도, 이제까지의 우리 사랑이 진정성마저 결여된 것이 아니었음을 확인하고 끝내야 하는 것 아닌가 하고 말이다. 이러한 메시지에 공감하지 못한다면, 사랑에 죽고 사는 청춘은 얼마나 허무한 것인가?

 

이 마음 속 말에 우리가 동의한다면 그것은 논리적 진리에 동의하는 것이 아니라, 시적 진실에 동의하는 것임을 두 말할 것도 없다. 그렇다면, 시적 진실이라는 측면에서 볼 때, 이 아포리즘이 갖는 힘의 근원은 무엇일까? 덧붙여지고 있는 ‘아무 말도 없이 떠나간 그대가 정말 미워요’라는 표현을 곧이곧대로 받아들일 수는 없다. 왜 그런가? ‘아무 말 없이 떠남’이 진정성의 증거이기 때문이 아닐까? 생각해 보건대, 이별의 상황에서 구질구질하게 변명하는 것처럼, 구차한 것이 어디 있겠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