잘 알아두어야 할 한자성어 20문항
- 다음 답지에 등장하는 한자성어는 중고생용 한자성어가 일부 포함되어 있으나, 대부분은 대학생 수준입니다. 모르는 한자성어가 있으면 반드시 사전을 참고하여 정확히 그 뜻을 알아 둡시다.
[1] 부모님의 은혜와 관계가 깊은 한자성어는?
① 걸해골(乞骸骨)
② 고복격양(鼓腹擊壤)
③ 교자채신(敎子採薪)
④ 후생가외(後生可畏)
⑤ 촌초춘휘(寸草春暉)
[2] 하찮은 일에도 매우 놀람을 나타내는 한자성어는?
① 파죽지세(破竹之勢)
② 화호유구(畵虎類狗)
③ 회사후소(繪事後素)
④ 풍성학려(風聲鶴唳)
⑤ 평지풍파(平地風波)
[3] 모든 일에 지나치게 조심하는 것을 나타내는 한자성어는?
① 징갱취제(懲羹吹虀)
② 회자인구(膾炙人口)
③ 창해일속(滄海一粟)
④ 천려일득(千慮一得)
⑤ 촌철살인(寸鐵殺人)
[4] 큰 목적을 위해 작은 정(情)을 버림을 나타내는 한자성어는?
① 서제막급(噬臍莫及)
② 읍참마속(泣斬馬謖)
③ 입목삼분(入木三分)
④ 은감불원(殷鑑不遠)
⑤ 일모도원(日暮途遠)
[5] 임금의 노여움을 나타내는 말은?
① 역린(逆鱗)
② 백미(白眉)
③ 췌사(贅辭)
④ 계륵(鷄肋)
⑤ 안서(雁書)
[6] 중매쟁이를 나타내는 말은?
① 월하빙인(月下氷人)
② 양상군자(梁上君子)
③ 경국지색(傾國之色)
④ 백아절현(伯牙絶絃)
⑤ 천재일우(千載一遇)
[7] 한자성어와 관련 사항의 연결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오상고절(傲霜孤節) - 국화
② 빙자옥질(氷姿玉質) - 매화
③ 세한고절(歲寒孤節) - 대나무
④ 천향국색(天香國色) - 모란
⑤ 화중군자(花中君子) - 난초
[8] 형제간의 다툼과 관련이 깊은 한자성어는?
① 자두연기(煮豆燃萁)
② 금성탕지(金城湯池)
③ 연목구어(緣木求魚)
④ 반근착절(盤根錯節)
⑤ 미생지신(尾生之信)
[9] 분수를 모르고 잘난 체하는 것을 나타내는 한자성어는?
① 배반낭자(杯盤狼藉)
② 반문농부(班門弄斧)
③ 배중사영(杯中蛇影)
④ 삼인성호(三人成虎)
⑤ 시위소찬(尸位素餐)
[10] ‘수석침류(漱石枕流)’와 뜻하는 바가 가장 유사한 것은?
① 호연지기(浩然之氣)
② 천의무봉(天衣無縫)
③ 지록위마(指鹿爲馬)
④ 추주어륙(推舟於陸)
⑤ 중과부적(衆寡不敵)
[11] <보기>의 설명에 해당하는 한자성어는?
<보기>
견문이 넓지 못한 사람이 신기(神奇)하게 여기고 떠드는 것이 알고 보면 별 것 아닌 흔한 것인 경우에 쓰이는 말
① 요동지시(遼東之豕)
② 위편삼절(韋編三絶)
③ 요령부득(要領不得)
④ 조령모개(朝令暮改)
⑤ 기호지세(騎虎之勢)
[12] ‘전거가감(前車可鑑)’이 뜻하는 바와 거리가 먼 것은?
① 부답복철(不踏覆轍)
② 박고지금(博古知今)
③ 학우고훈(學于古訓)
④ 온고지신(溫故知新)
⑤ 계명구도(鷄鳴狗盜)
[13] ‘여자’와 가장 거리가 먼 한자성어는?
① 화용월태(花容月態)
② 단순호치(丹脣皓齒)
③ 일고경성(一顧傾城)
④ 홍안박명(紅顔薄命)
⑤ 농장지희(弄璋之喜)
[14] ‘破瓜之年’과 관계가 깊은 나이는?
① 12, 24
② 16, 18
③ 16, 64
④ 20. 60
⑤ 80, 100
[15] <보기>의 설명이 가장 잘 어울리는 한자성어는?
<보기>
얕은꾀로 남을 속이려 하나 아무 소용이 없음을 이르는 말
① 권토중래(捲土重來)
② 구밀복검(口蜜腹劍)
③ 괄목상대(刮目相對)
④ 계구우후(鷄口牛後)
⑤ 엄이도령(掩耳盜鈴)
[16] <보기>의 설명이 가장 잘 어울리는 한자성어는?
<보기>
학자가 쉼 없이 학문을 닦아 큰 도를 성취함
① 아자시술(蛾子時術)
② 교학상장(敎學相長)
③ 격물치지(格物致知)
④ 학이시습(學而時習)
⑤ 무실역행(務實力行)
[17] <보기>의 설명이 가장 잘 어울리는 한자성어는?
<보기>
사람의 재능이 너무 좋으면 따르는 무리들이 적다
① 후생각고(後生角高)
② 안고수비(眼高手卑)
③ 등고자비(登高自卑)
④ 기고만장(氣高萬丈)
⑤ 곡고화과(曲高和寡)
[18] 다음 중, ‘사궁(四窮)’에 속하지 않는 것은?
① 늙은 홀아비
② 늙은 홀어미
③ 부모 없는 아이
④ 자식 없는 늙은이
⑤ 제자 없는 스승
[19] ‘어리석음이나 무식함’과 거리가 먼 한자성어는?
① 기려멱려(騎驢覓驢)
② 입화습률(入火拾栗)
③ 어로불변(魚魯不辨)
④ 목불인견(目不忍見)
⑤ 숙맥불변(菽麥不辨)
[20] <보기>의 설명과 가장 잘 어울리는 한자성어는?
<보기>
한 나라에 간신배가 있으면 어진 신하가 모이지 않음
① 구맹주산(狗猛酒酸)
② 견원지간(犬猿之間)
③ 불구대천(不俱戴天)
④ 파라척결(爬羅剔抉)
⑤ 파사현정(破邪顯正)
*
* 본 문항은 수강생들이 스마트폰으로 전철 등에서 짬이 날 때 풀 수 있도록 짧게 구성한 것입니다. 가능하면 댓글로 답을 달아 주세요. 우수 댓글에는 소정의 상품이 지급되기도 합니다.
* 잘 모르는 한자성어에 대해서는 댓글로 질문하면 가능한 한 자세히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한자와 한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런 한자어는 독음이 어려워! - 제 2 편- (0) | 2011.04.07 |
---|---|
이런 한자어는 독음이 어려워! -제 1 편- (0) | 2011.04.06 |
한문으로 번역한 속담 (0) | 2011.03.17 |
유쾌 상쾌 통쾌-한자어의 이해 (0) | 2011.01.15 |
‘희수(稀壽)’와 ‘희수(喜壽)’ (0) | 2011.01.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