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법과표준어

‘잎새’, ‘푸르르다’, ‘이쁘다’ 등 표준어로 인정

국어의 시작과 끝 2015. 12. 23. 02:28

‘잎새’, ‘푸르르다’, ‘이쁘다’ 등 표준어로 인정

― 「2015년 표준어 추가 결과」 발표 ―

 

 

  문화체육관광부 국립국어원(원장 송철의)은 국민들이 실생활에서 많이 사용하고 있으나 그동안 표준어로 인정되지 않았던 잎새, 푸르르다, 이쁘다, -고프다11항목의 어휘와 활용형을 표준어 또는 표준형으로 인정한다는 내용의 2015년 표준어 추가 결과를 발표하고 2016년 1월 1일 자로 인터넷으로 제공되는 『표준국어대사전』(http://stdweb2.korean.go.kr/main.jsp)에 반영할 예정이다.

  국립국어원은 급변하는 언어 환경에 대응하고 국민 언어생활의 편의를 높이고자 어문 규범의 큰 틀을 유지하면서 한글맞춤법 등의 어문 규정을 현실화하고 복수 표준어를 지속적으로 추가하고 있다. 특히 이번 복수 표준어 추가는 국민의 일상생활에 큰 영향을 미치는 사안인 만큼 국어규범정비위원회, 국어심의회 등 여러 단계의 전문가 자문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최종 결과를 발표하게 된 것이다.

    

  이번에 새로 표준어로 인정한 항목은 크게 세 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첫째, 현재 표준어와 같은 뜻으로 널리 쓰이는 말을 복수 표준어로 인정한 경우이다. 그동안 ‘이쁘다’는 비표준어로서 ‘예쁘다’로 써야 했으나 앞으로는 ‘이쁘다’도 ‘예쁘다’와 뜻이 같은 표준어로 인정된다. 이렇게 복수 표준어로 인정된 말은 마실’, ‘이쁘다’, ‘찰지다’, ‘-고프다등 모두 4항목이다. 이 가운데 ‘마실’은 ‘이웃에 놀러 다니는 일’과 ‘여러 집이 모여 사는 곳’이라는 두 가지 뜻 중에서 ‘이웃에 놀러 다니는 일’이라는 뜻에 대해서만 표준어로서의 지위가 인정되었다.

복수 표준어를 인정하는 것은 ‘발음이 비슷한 단어들이 다 같이 널리 쓰이는 경우에는 그 모두를 표준어로 삼는다’는 「표준어 규정」의 원칙을 따르는 것으로, 이미 써오던 것(‘예쁘다’)과 추가로 인정된 것(‘이쁘다’)을 모두 교과서나 공문서에 쓸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새로운 표준어를 익히기 위해 따로 수고를 들일 필요 없이 둘 중 선호하는 어휘를 자유롭게 사용하면 된다.

  둘째, 현재 표준어와는 뜻이나 어감이 달라 이를 별도의 표준어로 인정한 경우이다. 그동안 ’푸르르다‘는 ’푸르다‘로 고쳐 써야 했으나 ’푸르르다‘와 ’푸르다‘는 쓰임이 다르기 때문에 ’푸르르다‘를 별도의 표준어로 인정하였다. 이렇게 별도의 표준어로 인정된 말은 꼬리연, 의론(議論), 이크, 잎새등 모두 5항목이다.

  셋째, 비표준적인 것으로 다루어 왔던 활용형을 표준형으로 인정한 경우이 다. 그동안 ‘말다’가 명령형으로 쓰일 때는 ‘ㄹ’을 탈락시켜 ‘(잊지) 마/마라’와 같이 써야 했으나, 현실의 쓰임을 반영하여 ‘(잊지) 말아/말아라’와 같이 ‘ㄹ’을 탈락시키지 않고 쓰는 것도 인정하기로 하였다. 또한, 그동안 ‘노랗다, 동그랗다, 조그맣다’ 등과 같은 ㅎ불규칙용언이 종결어미 ‘-네’와 결합할 때는 ‘ㅎ’을 탈락시켜 ‘노라네/동그라네/조그마네’와 같이 써야 했으나, 불규칙활용의 체계성과 현실의 쓰임을 반영하여 ‘노랗네/동그랗네/조그맣네’와 같이 ‘ㅎ’을 탈락시키지 않고 쓰는 것도 인정하기로 하였다. 이렇게 복수의 표준형으로 인정된 말은 말아, 말아라, 말아요처럼 말다‘-()’가 결합할 때 이 탈락하지 않는 활용형과 노랗네, 동그랗네, 조그맣네처럼 불규칙용언에 어미 ‘-가 결합할 때 이 탈락하지 않는 활용형 등 모두 2항목이다.

    

  국립국어원은 1999년에 『표준국어대사전』을 발간한 이후 언어생활에서 많이 사용되지만 표준어로 인정되지 않은 단어들을 검토하는 일을 꾸준히 해왔다. 그 결과 지난 2011년에 ‘짜장면, 맨날, 눈꼬리’ 등 39항목을 추가하였고, 2014년에는 ‘삐지다, 놀잇감, 속앓이, 딴지’ 등 13항목을 표준어로 추가한 바 있다. 이번에 추가된 표준어 11항목은 올해 열린 국어심의회(위원장 서정목)를 통과하면서 최종 확정된 것으로서, 그동안 국립국어원이 어문 규범과 『표준국어대사전』의 보완을 위해 시행해 온 어휘 사용 실태 조사와 말뭉치 검색 결과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실제 언어생활에서 사용 빈도가 높고 표준어로 인정해야 한다는 요구가 높은 것들을 선별한 것이다.

  앞으로도 국립국어원은 언어 사용 실태 조사 및 여론 조사를 통하여 국민의 언어생활에 불편한 점이 없는지를 지속적으로 점검하고, 그 결과를 규범에 반영함으로써 국민들이 국어를 사용할 때에 더욱 만족할 수 있도록 계속 노력할 계획이다.

'맞춤법과표준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북한의 맞춤법  (0) 2016.09.11
좋은 문장 쓰기  (0) 2015.08.05
2015 문장 부호 개정안 내용  (0) 2014.10.28
한글 맞춤법 문장 부호 개정안  (0) 2014.06.19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 정리 및 해설  (0) 2011.08.07